로고 이미지

  • 전체
  • 캠퍼스
  • 사회
  • 문화
  • DGIST 사람들
  • 학술
  • 오피니언
  • 학생토론회
  • 지면보기
  • 포토
  • English
  • 규정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
  • 캠퍼스
  • 사회
  • 문화
  • DGIST 사람들
  • 학술
  • 오피니언
  • 학생토론회
  • 지면보기
  • 포토
  • English
  • 규정
  • 분류 전체보기 (918) N
    • 캠퍼스 (308) N
    • 사회 (62)
    • 문화 (147)
    • DGIST 사람들 (95)
    • 학술 (48)
    • 주간소식 (119)
    • 오피니언 (58)
    • 지면보기 (21)
    • 포토 (37) N
    • English (6)
    • 디지스트신문 DNA 주최 학생토론회 (1)
    • DNA툰 (14)
      • 잡생각 (2)
      • 디지밖세상(완) (2)
      • 허니디지(완) (9)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2024년 올해의 과학단어: 세포 내 공생 이론(Endosymbiosis Theory)

    세포 내 공생 이론(Endosymbiosis Theory): 원핵세포가 다른 세포 내부로 들어가 공생하다가 미토콘드리아, 엽록체와 같은 세포 소기관으로 진화했다고 바라보는 이론[1]‘세포 내 공생 이론’에 따르면 먼 과거 어떤 원핵세포는 다른 세포 내부에서 ‘공생’했습니다. 이 이론은 그 공생하던 원핵세포가 진화한 것이 지금의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 등 세포 소기관이라고 바라봅니다.  2024년, ‘공생’은 DGIST와 우리 학생 사회에서 중요한 키워드가 됐습니다. 기초학부 단독으로 학부 과정을 운영한 지 10년 만에 신설된 반도체공학과가 30명의 신입생을 받으며 첫 페이지를 장식했습니다. 작년 여름에 3명의 학생이 입학하며 시작한 외국인 학부생 제도가, 올해는 12명의 신입생과 함께 본격적인 비상을 알렸..

    2024.12.31

  • 입학팀 합격 통보 실수로 아주대 포기, 낙동강 오리알 된 수험생… DGIST는 합격을 통한 구제 불가 입장

    지난 26일, DGIST 입학팀은 융복합대학 수시 모집에 지원한 모 수험생에게 합격을 통보한 후 번복했다. 해당 수험생은 아주대학교에 합격한 상황이었으나 DGIST 입학팀의 합격 통보 전화를 받은 후 아주대학교 등록을 포기했고, 결국 두 대학 모두에 입학하지 못하게 되었다. 연합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경기도의 한 공립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수험생 A군은 지난 26일 오후 3시 40분경 DGIST 입학팀으로부터 ‘합격 통보 전화’를 받았다. 그러나 오후 4시경 DGIST 홈페이지에 올라온 합격자 명단에 본인의 이름이 없자 A군은 DGIST에 문의했고, “담당자의 실수”였다는 설명과 함께 불합격 통보를 받았다. A군은 아주대학교에 합격한 상태였으나, 중복 합격 시 1곳만 선택해야 했기에 이미 아주대학교 등록을..

    2024.12.27

  • Cultural Day: A Celebration of DGIST's Cultural and Ethnic Diversity

    On November 1, an event titled DGIST Cultural Day was held at E15(the outdoor amphitheater). This event was a collaboration between the DGIST International Student Association (DISA) and the International Affairs Team (IAT). It aimed to celebrate the diversity within the DGIST community.  This event featured ▲food and drinks booths (▲Republic of Korea ▲Ghana ▲Iran ▲Vietnam ▲Turkey) ▲stages (▲ban..

    2024.12.22

  • DGIST의 문화·민족의 다양성을 기념하기 위한 Cultural day 성황리에 마쳐

    지난 11월 1일, E15 (야외음악당)에서 DISA (DGIST International Student Association)와 국제교류팀이 주관한 Cultural Day 행사가 열렸다. 이번 행사는 DGIST 커뮤니티 내 다양성을 기념하기 위한 DISA와 국제교류팀의 합작이다. 본 행사에서는 ▲음식과 음료 부스(▲대한민국 ▲가나 ▲이란 ▲베트남 ▲튀르키예) ▲공연(▲밴드 (한국-RGB) ▲노래(▲가나 ▲나이지리아 ▲인도 ▲방글라데시 ▲브라질 ▲인도네시아) ▲춤(▲인도 ▲베트남))이 진행되었다. 동시에 각국의 전통 의복을 입어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으며, DGIST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적 의상을 강조하기 위한 의상 런웨이가 진행되었다. 100여 명 이상의 국제 학생들의 다양한 문화·민족이 어우러진..

    2024.12.22

  • 디지생의 여름방학 22. 연구자의 삶을 살아보다, DURA 이진희

    6년 만에 이 돌아왔다. 이번 여름 디지생은 어떤 여름방학을 보냈을까. 은 자신만의 방법으로 여름방학을 지낸 디지생들을 인터뷰해 왔다. 올해 두 번째 순서는 존스 홉킨스 대학(Johns Hopkins University)으로 향해 DURA(DGIST Undergraduate Research Award)에 참여한 이진희(`21) 학생이다.본인의 방학을 디지생과 공유하고 싶은 학부생이 있다면 언제든 환영합니다. 어떤 방학을 보냈는지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dgistdna@dgist.ac.kr로 보내주세요.  Q. 간단하게 자기소개 부탁한다.DGIST 기초학부 21학번 이진희이다. 생물 분야를 전공으로 생각하고 있고 이번 여름방학에 존스 홉킨스 대학교로 향해 DURA type1에 참여했다. Q. DURA 프로그..

    2024.12.19

  • [속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금일(14일) 국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가결했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결정 전까지 윤석열 대통령의 권리 행사는 정지되며, 한덕수 국무총리가 권한대행을 맡는다.권대현 기자 seromdh@dgist.ac.kr

    2024.12.14

  • DGIST 교수평의회 소속 교수 75인, 윤석열 탄핵 요구 시국 선언문 발표

    금일(13일) DGIST 교수평의회 소속 교수 75인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요구하는 시국 선언문을 발표했다. 교수평의회 소속 교수들은 윤석열 대통령이 선언한 위헌적인 계엄 선포가 시민들의 무수한 희생으로 일구어 온 민주주의를 짓밟았다고 평가했다. 동시에 대통령의 직무를 즉각 정지하는 것만이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는 유일한 길이라 호소하며 탄핵을 촉구했다. 시국 선언은 뇌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서병창 DGIST 교수평의회장(이하 서 회장)이 시국 선언의 배경을 밝히는 것으로 시작했다. 서 회장은 DGIST가 보수의 중심인 대구에 있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대구시와 달성군 지자체와 협력하며 발전해 나가는 기관이기 때문에 목소리 내는 것에 고민이 깊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지난 7일 국회에서 탄핵소추안 표결이 ..

    2024.12.13

  • 전학대회, 비상계엄 규탄 성명문 발표, 타대와의 공동성명문에도 참여키로… 총학 차원의 오프라인 집회 참여는 부결

    지난 8일 23시경, DGIST 전체학생대표자회의(의장 김민성, 이하 전학대회)가 윤석열 대통령의 이번 비상계엄 사태 관련 성명문을 작성하기로 의결하고, 금일 10시 단독성명문을 발표했다.(DGIST 전학대회 성명문 링크) 전학대회 이름으로 작성된 이번 단독성명문은 비상계엄이 헌법과 삼권분립의 원칙을 파괴했으며, 학문의 자유와 교육권을 위협할 여지가 있었다는 점을 지적했다. 덧붙여 헌법 전문이 명시한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 이념”과 “자유민주적 기본 질서” 등을 강조하며 민주주의를 향한 의지를 보였다. 이번 단독성명문에는 전학대회 대의원 만장일치로 실명을 기재하였다.또한 이번 전학대회는, 한국대학총학생회공동포럼에서 출범한 ‘비상계엄 대응을 위한 전국 총학생회 공동행동’(구 한국대학총학생회공동행동,..

    2024.12.09

2024년 올해의 과학단어: 세포 내 공생 이론(Endosymbiosis Theory)

세포 내 공생 이론(Endosymbiosis Theory): 원핵세포가 다른 세포 내부로 들어가 공생하다가 미토콘드리아, 엽록체와 같은 세포 소기관으로 진화했다고 바라보는 이론[1]‘세포 내 공생 이론’에 따르면 먼 과거 어떤 원핵세포는 다른 세포 내부에서 ‘공생’했습니다. 이 이론은 그 공생하던 원핵세포가 진화한 것이 지금의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 등 세포 소기관이라고 바라봅니다.  2024년, ‘공생’은 DGIST와 우리 학생 사회에서 중요한 키워드가 됐습니다. 기초학부 단독으로 학부 과정을 운영한 지 10년 만에 신설된 반도체공학과가 30명의 신입생을 받으며 첫 페이지를 장식했습니다. 작년 여름에 3명의 학생이 입학하며 시작한 외국인 학부생 제도가, 올해는 12명의 신입생과 함께 본격적인 비상을 알렸..

오피니언 2024. 12. 31. 12:43

입학팀 합격 통보 실수로 아주대 포기, 낙동강 오리알 된 수험생… DGIST는 합격을 통한 구제 불가 입장

지난 26일, DGIST 입학팀은 융복합대학 수시 모집에 지원한 모 수험생에게 합격을 통보한 후 번복했다. 해당 수험생은 아주대학교에 합격한 상황이었으나 DGIST 입학팀의 합격 통보 전화를 받은 후 아주대학교 등록을 포기했고, 결국 두 대학 모두에 입학하지 못하게 되었다. 연합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경기도의 한 공립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수험생 A군은 지난 26일 오후 3시 40분경 DGIST 입학팀으로부터 ‘합격 통보 전화’를 받았다. 그러나 오후 4시경 DGIST 홈페이지에 올라온 합격자 명단에 본인의 이름이 없자 A군은 DGIST에 문의했고, “담당자의 실수”였다는 설명과 함께 불합격 통보를 받았다. A군은 아주대학교에 합격한 상태였으나, 중복 합격 시 1곳만 선택해야 했기에 이미 아주대학교 등록을..

캠퍼스 2024. 12. 27. 19:14

Cultural Day: A Celebration of DGIST's Cultural and Ethnic Diversity

On November 1, an event titled DGIST Cultural Day was held at E15(the outdoor amphitheater). This event was a collaboration between the DGIST International Student Association (DISA) and the International Affairs Team (IAT). It aimed to celebrate the diversity within the DGIST community.  This event featured ▲food and drinks booths (▲Republic of Korea ▲Ghana ▲Iran ▲Vietnam ▲Turkey) ▲stages (▲ban..

English 2024. 12. 22. 21:21

DGIST의 문화·민족의 다양성을 기념하기 위한 Cultural day 성황리에 마쳐

지난 11월 1일, E15 (야외음악당)에서 DISA (DGIST International Student Association)와 국제교류팀이 주관한 Cultural Day 행사가 열렸다. 이번 행사는 DGIST 커뮤니티 내 다양성을 기념하기 위한 DISA와 국제교류팀의 합작이다. 본 행사에서는 ▲음식과 음료 부스(▲대한민국 ▲가나 ▲이란 ▲베트남 ▲튀르키예) ▲공연(▲밴드 (한국-RGB) ▲노래(▲가나 ▲나이지리아 ▲인도 ▲방글라데시 ▲브라질 ▲인도네시아) ▲춤(▲인도 ▲베트남))이 진행되었다. 동시에 각국의 전통 의복을 입어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으며, DGIST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적 의상을 강조하기 위한 의상 런웨이가 진행되었다. 100여 명 이상의 국제 학생들의 다양한 문화·민족이 어우러진..

캠퍼스 2024. 12. 22. 21:15

디지생의 여름방학 22. 연구자의 삶을 살아보다, DURA 이진희

6년 만에 이 돌아왔다. 이번 여름 디지생은 어떤 여름방학을 보냈을까. 은 자신만의 방법으로 여름방학을 지낸 디지생들을 인터뷰해 왔다. 올해 두 번째 순서는 존스 홉킨스 대학(Johns Hopkins University)으로 향해 DURA(DGIST Undergraduate Research Award)에 참여한 이진희(`21) 학생이다.본인의 방학을 디지생과 공유하고 싶은 학부생이 있다면 언제든 환영합니다. 어떤 방학을 보냈는지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dgistdna@dgist.ac.kr로 보내주세요.  Q. 간단하게 자기소개 부탁한다.DGIST 기초학부 21학번 이진희이다. 생물 분야를 전공으로 생각하고 있고 이번 여름방학에 존스 홉킨스 대학교로 향해 DURA type1에 참여했다. Q. DURA 프로그..

DGIST 사람들 2024. 12. 19. 20:51

[속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금일(14일) 국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가결했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결정 전까지 윤석열 대통령의 권리 행사는 정지되며, 한덕수 국무총리가 권한대행을 맡는다.권대현 기자 seromdh@dgist.ac.kr

사회 2024. 12. 14. 17:00

DGIST 교수평의회 소속 교수 75인, 윤석열 탄핵 요구 시국 선언문 발표

금일(13일) DGIST 교수평의회 소속 교수 75인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요구하는 시국 선언문을 발표했다. 교수평의회 소속 교수들은 윤석열 대통령이 선언한 위헌적인 계엄 선포가 시민들의 무수한 희생으로 일구어 온 민주주의를 짓밟았다고 평가했다. 동시에 대통령의 직무를 즉각 정지하는 것만이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는 유일한 길이라 호소하며 탄핵을 촉구했다. 시국 선언은 뇌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서병창 DGIST 교수평의회장(이하 서 회장)이 시국 선언의 배경을 밝히는 것으로 시작했다. 서 회장은 DGIST가 보수의 중심인 대구에 있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대구시와 달성군 지자체와 협력하며 발전해 나가는 기관이기 때문에 목소리 내는 것에 고민이 깊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지난 7일 국회에서 탄핵소추안 표결이 ..

사회 2024. 12. 13. 18:38

전학대회, 비상계엄 규탄 성명문 발표, 타대와의 공동성명문에도 참여키로… 총학 차원의 오프라인 집회 참여는 부결

지난 8일 23시경, DGIST 전체학생대표자회의(의장 김민성, 이하 전학대회)가 윤석열 대통령의 이번 비상계엄 사태 관련 성명문을 작성하기로 의결하고, 금일 10시 단독성명문을 발표했다.(DGIST 전학대회 성명문 링크) 전학대회 이름으로 작성된 이번 단독성명문은 비상계엄이 헌법과 삼권분립의 원칙을 파괴했으며, 학문의 자유와 교육권을 위협할 여지가 있었다는 점을 지적했다. 덧붙여 헌법 전문이 명시한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 이념”과 “자유민주적 기본 질서” 등을 강조하며 민주주의를 향한 의지를 보였다. 이번 단독성명문에는 전학대회 대의원 만장일치로 실명을 기재하였다.또한 이번 전학대회는, 한국대학총학생회공동포럼에서 출범한 ‘비상계엄 대응을 위한 전국 총학생회 공동행동’(구 한국대학총학생회공동행동,..

사회 2024. 12. 9. 20:2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115
다음
  • 매체소개 | 규정 | 외부기고




디지스트신문 DNA : DGIST News & Analysis © 디지스트 신문 DNA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