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DGIST 학부생 출신 교수 속속 탄생… 김묘정, 유동현, 양준모 동문 연세대, 전남대, 영남대에 각각 임용
DGIST 학부생 출신 교수가 탄생했다. DGIST 학부 설립 11년차가 된 올해, 그간 국내외에서 박사 학위를 수여받고 대학원을 졸업한 DGIST 학부 출신 학생이 오는 2025학년도 교수로 임용되는 사례가 속속 생기고 있다. ‘디지스트신문 DNA’와 홍보팀이 공동으로 확인한 결과, DGIST 대학원을 졸업한 동문이 교수로 임용된 사례는 이미 존재했으나 학부 출신 동문이 교수로 임용된 사례는 이번 ▲김묘정 동문(`14) ▲유동현 동문(`14) ▲양준모 동문(`14)이 처음인 것으로 파악됐다.연세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조교수로 임용된 김묘정 동문은 지난 2018년 DGIST에서 학사학위를 수여받은 이후 KAIST 대학원을 거치고 미국의 시카고 대학교에서 약 1년간 박사후 연구원으로 지냈다. 전남대학교 A..
2025.02.18
-
제27회 DLS: 2024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빅터 앰브로스 교수 초청 강연
지난 10일, E7 대강당(L29)에서 제27회 DGIST Distinguished Lecture Series(DLS)이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에는 2024년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빅터 앰브로스 교수(이하 앰브로스 교수)가 초청 강연을 하였다. 앰브로스 교수는 유전자의 전사 후 조절(post-transcriptional gene regulation)에 중요한 micro RNA(miRNA)를 발견하고 그 역할을 규명한 공로로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앰브로스 교수는 ‘동물의 발달 과정을 조절하는 유전자와 분자적 메커니즘(Genes and Molecular Mechanisms Controlling Animal Development)’을 주제로 자신이 어떻게 miRNA를 발견하고 모델 생물을 통해 그 역할..
2025.02.17
-
2025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진행
2025년도 DGIST 전기 학위수여식이 금일(14일) 대학본부 컨벤션홀에서 진행됐다. 이번 행사를 통해 ▲박사 60명 ▲석사 72명 ▲학사 128명, 총 260명의 학생이 학위를 수여받았다. 이번 행사는 ▲학사 행렬 ▲학사 보고 ▲졸업식사 ▲학위 수여 ▲졸업생 대표 인사 ▲졸업 선서 ▲원가 제창 ▲축하공연 등 순서로 이어졌다. 바이브컴퍼니 부사장을 거친 송길영 작가가 졸업 축사를 맡았다.권대현 기자 seromdh@dgist.ac.kr
2025.02.14
-
총학생회, 일부 교과목 시간표 확정 지연에 문제 제기… 학사팀 “개선하겠다”
※ 기사 정정 보도 안내지난 2025년 02월 04일, 학사팀이 제출한 언론 조정 요청을 검토한 결과, 보도 내용에서 오류를 확인해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기사 발행 전 총학생회와 소통하던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관련 실무자의 개인적인 의견을 학사팀의 공식 입장으로 잘못 보도하는 등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를 뒤늦게 파악하고 정정 보도합니다. 독자 여러분께 불편을 끼쳐 죄송합니다. 학사일정 발표 일부 교과목 시간표 확정 이 회장은 최근 학사일정 발표가 늦다는 문제를 인지하고, 학사팀에 해결 방안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일부 교과목의 시간표 확정이 늦다는 문제를 인지하고 이에 대해 학사팀에게 문의했다.또한 총학생회는 필수 이수 과목 간 시간표 중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을..
2025.01.31
-
[사설] 학생 보호보다 본인 업적 기리기? 임태희 경기도 교육감, “DGIST 합격 통보 실수 사태” 피해 학생 정보 무단 유출 논란
※ 본 사설은 “DGIST 합격 통보 실수 사태”와 관련하여 피해 학생의 합격 여부에 대한 찬반 의견을 제시하려는 목적을 가지지 않습니다. 이 글은 사안에 대한 건전한 토론과는 별개로, 피해 학생의 정보를 무단으로 공개하여 상황을 악화시킨 특정 정치인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담고 있습니다. 본 기자는 해당 사안에 대한 학교 당국이 내린 판단에 특정한 의견을 드러내고자 사설을 발행한 것이 아님을 독자 여러분께 분명히 밝힙니다. ※ 사설 발행 후 독자 여러분께 추가로 전합니다.본 기자와 언론사는 'DGIST 입학팀 합격 통보 실수 사태' 피해 학생과 학부모에게 본 사설 발행에 대한 동의를 사전에 구했음을 독자 여러분께 알립니다. 임태희 경기도 교육감(이하 임 교육감)이 최근 있었던 ‘DGIST 입학팀 합격..
2025.01.22
-
DGIST 입학학생처, 수시 모집 합격 통보 실수 관련 입장문 발표
지난해 12월 26일, DGIST 입학팀은 융복합대학 수시 모집에 지원한 모 수험생에게 합격을 통보한 후 번복했다. 해당 수험생은 아주대학교에 합격한 상태였으나 DGIST 입학팀의 합격 통보 전화를 받은 후 아주대학교 등록을 포기했고, 결국 두 대학 모두에 입학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다. (관련 기사: 입학팀 합격 통보 실수로 아주대 포기, 낙동강 오리알 된 수험생… DGIST는 합격을 통한 구제 불가 입장) 금일(17일) 입학학생처가 이에 대한 입장문을 발표했다. 입학학생처는 수시 모집 충원 합격자 통보 과정에서 발생한 잘못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한다고 전했으며, 해당 상황 발생 직후부터 책임있게 피해 회복을 위한 대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였다고 밝혔다. 또한 모든 방법과 수단을 동원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
2025.01.17
-
2025 Pre-DGIST 진행, 입학 앞두고 학교 찾은 예비 학부 신입생들
지난 16일과 17일, 2025학년도 예비 학부 신입생이 Pre-DGIST 행사를 통해 DGIST를 찾았다. 이번 행사는 대학행정팀 주관해 진행했으며, ▲캠퍼스 투어 ▲동아리 소개 ▲UGRP 설명회 ▲FGLP 설명회 등 유익하고 의미 있는 일정이 포함되었다. 이번 행사에 참여한 예비 신입생 권기대(`25), 김주효(`25) 학생은 좋은 환경을 갖추고 학생들에게 다양한 지원을 하는 DGIST에 입학하게 되어 기쁘다고 말하며, Pre-DGIST 행사를 통해 학교에 대해 잘 알게 되었다고 전했다.과학도로서 꿈을 키우는 모든 예비 신입생의 앞날을 응원한다. 권대현 기자 seromdh@dgist.ac.kr
2025.01.16
-
2024년 올해의 과학단어: 세포 내 공생 이론(Endosymbiosis Theory)
세포 내 공생 이론(Endosymbiosis Theory): 원핵세포가 다른 세포 내부로 들어가 공생하다가 미토콘드리아, 엽록체와 같은 세포 소기관으로 진화했다고 바라보는 이론[1]‘세포 내 공생 이론’에 따르면 먼 과거 어떤 원핵세포는 다른 세포 내부에서 ‘공생’했습니다. 이 이론은 그 공생하던 원핵세포가 진화한 것이 지금의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 등 세포 소기관이라고 바라봅니다. 2024년, ‘공생’은 DGIST와 우리 학생 사회에서 중요한 키워드가 됐습니다. 기초학부 단독으로 학부 과정을 운영한 지 10년 만에 신설된 반도체공학과가 30명의 신입생을 받으며 첫 페이지를 장식했습니다. 작년 여름에 3명의 학생이 입학하며 시작한 외국인 학부생 제도가, 올해는 12명의 신입생과 함께 본격적인 비상을 알렸..
2024.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