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 전체
  • 사회
  • 문화
  • DGIST 사람들
  • 학술
  • 오피니언
  • 학생토론회
  • 지면보기
  • 포토
  • English
  • 규정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
  • 사회
  • 문화
  • DGIST 사람들
  • 학술
  • 오피니언
  • 학생토론회
  • 지면보기
  • 포토
  • English
  • 규정
  • 분류 전체보기 (893) N
    • 사회 (368)
    • 문화 (137)
    • DGIST 사람들 (90)
    • 학술 (48)
    • 주간소식 (119)
    • 오피니언 (51)
    • 지면보기 (21)
    • 포토 (36)
    • English (6)
    • 디지스트신문 DNA 주최 학생토론회 (1)
    • DNA툰 (14)
      • 잡생각 (2)
      • 디지밖세상(완) (2)
      • 허니디지(완) (9)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아침식사, 드시나요?

    학생의 목소리와 학생팀의 입장 DGIST는 기초학부생의 아침 식사를 권장하기 위해 의무조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제시간에 아침 식사를 못 하는 학생들의 편의를 위해 일반식과 별도로 간편식을 8시 40분부터 10시까지 제공하고 있다.그러나 아침 식사에 대해 불만은 여전한 듯하다. 이에 DNA에서 지난 5월 1일부터 5월 3일까지 3일간 기초학부생과 대학원생 260명(14학번 62명, 15학번 70명, 16학번 107명, 대학원생 21명)을 대상으로 조식 제도에 관한 학생들의 의견을 들어보았다.‘아침 식사를 얼마나 자주 하는가’라는 질문에는 ▲매일 먹음(19%) ▲일주일에 3~4번(32%) ▲일주일에 1~2번(29%) ▲먹지 않음(18%)이라 답하였다. 아침 식사를 하지 않는 이유로는 ▲일어나기 힘들..

    2016.06.17

  • 바둑용어, 어디까지 알아봤니?

    최근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대국은 많은 사람들에게 큰 화제가 되었다. 인공지능과 사람의 대결이라는 주제도 충분히 화제가 될 만 했지만, 대결 종목인 바둑 역시 빠트릴 수 없는 토픽 중 하나였다. ‘바둑’이라는 종목 자체는 일반인들에게 매우 생소할 수도 있지만, 필자는 이번 글에서 바둑이 일상생활 속에 꽤나 많이 녹아있었다는 것을 독자들에게 소개해주고 싶다. 먼저 가장 대표적인 용어로, ‘정석’이 있다. ‘수학의 정석’이란 단어를 통해 익숙해져 있을 ‘정석’은 대다수가 선택하는 옳은 방법 정도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바둑에서 유래된 용어인 정석은 처음에 쓰이던 상황과는 그 쓰임새가 많이 달라졌다. 바둑에서 일컫는 정석은 돌을 두는 순서를 말한다. 이는 흑과 백 둘 다에게 치우침 없이 공격과 ..

    2016.04.27

  • 피자와 함께 하는 수학의 밤, 오는 29일 열려

    L30에서 오후 4시 30분부터 시작 오는 4월 29일 오후 4시 30분, DGIST 기초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L30에서 수학에 대한 토의의 장이 열린다. 이 행사는 DGIST 기초학부의 수학분야 진로 탐색 프로그램의 일환이며, 최근 변경된 부분을 포함한 DGIST 수학 교과 전반에 대한 소개와 강의 지도가 목적이다. 이 행사를 담당한 한강진 교수는 “수학을 통해 연구원 이외에 응용하여 어떤 일을 할 수 있는가의 사례를 들어볼 것이며, 이와 관련하여 수학기반 스타트업인 ‘감성수학레드’를 창업하신 김종락 교수(서강대 수학과)를 초청하여 ‘수학기반 스타트업의 현황과 전망’에 대한 강연의 시간도 가질 것이다.” 라고 말했다. 본 행사에서는 30분간의 DGIST 수학 교과 설명회 및 진로 관련 토의도 있을 예..

    2016.04.27

  • E3 벽재마감재(화강석)탈락사고, 사고의 원인과 대처는?

    인명피해는 없으며, 전체 동을 대상으로 안전점검 시행 예정 지난 22일, E3 5층에서 화강석 타일이 추락하는 사고가 있었다. DGIST 시설팀과 서브원 관계자 측에 의하면, 이번 사고는 벽재마감재로 쓰인 화강석 타일 6장(장당 30kg, 총 180kg)이 제대로 부착되지 않아서 일어나게 된 시공 불량 사고이다. 건물과 타일을 시공한 업체는 현대건설이며, 이번 사고는 공사하자기간에 발생한 사고이므로 시공사 측에 책임이 있다. DGIST 시설팀장은 “사고 재발 우려로 1층 통로 일부를 봉쇄하였으며, 파편으로 인한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티로폼을 바닥에 깔아둘 것이며, 이번 사고를 계기로 사고가 나지 않은 나머지 대학원 건물을 대상으로 한 안전점검이 시행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현대건설 측에서 보수작업..

    2016.04.27

  • FGLP – UC Berkeley 참여 학생, 기숙사 자리 부족으로 불편 겪어

    C 세션 기숙사 대신 D 세션 기숙사로 변경하여 신청해 FGLP – UC Berkeley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현지 기숙사의 자리 부족으로 인해 참여 세션을 변경하는 불편을 겪었다. 일부 기숙사가 보수를 위한 공사를 진행하고, 중국에서의 UC Berkeley 여름 학기 신청이 늘어나면서 기숙사의 공급은 줄고 수요는 늘어나게 된 것이 주된 요인이다. UC Berkeley의 여름 학기는 신청하는 세션에 따라 과목의 종류와 수강 기간이 달라지며(6주, 8주) 그와 함께 기숙사의 종류도 달라진다. DGIST의 원래 계획은 학생들이 8주간 머물 수 있는 C 세션 기숙사를 배정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학생들이 강의를 선택할 땐 6주 과정의 D 세션과 8주 과정의 C 세션에서 강의를 각각 하나씩 선택하여,..

    2016.04.12

  • DGIST 내에서 열린 지적설계 강연

    유사과학이란 이유로 학생들 사이에서 논란 일어 3월 26일부터 4월 30일까지 DGIST 내에서 Research Association for Signatures Of Nature의 주최로 매주 토요일마다 총 6번에 걸쳐 지적설계(Intelligent Design)에 관한 강연이 펼쳐져 논란이 일고 있다. 이 강연의 주제는 열리는 순서대로 ▲인체와 창조 ▲세포에서 바라보는 지적설계 ▲과학적 관점과 역사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시간의 과학” ▲”Why Won’t They Listen?” ▲내가 생물 창조를 믿는 이유 ▲자연과 창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듯 강연의 주제부터가 흔히 유사과학이라고 말하는 창조과학, 즉, 지적설계를 연상시킬 수 있는 주제들로 이루어져 DGIST 학생들의 대부분은 진화론이 정설인 현재..

    2016.04.12

  • DGIST 총학생회 학생회칙 초안 공고

    DGIST 총학생회 집행부는 지난해부터 올해 3월까지 수정을 거친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융복합대학 총학생회 학생회칙(이하 학생회칙)’ 초안을 학부과정 재학 중인 모든 학생에게 개별 메일로 공고하였다. 학생회칙은 ▲총칙 ▲학생총회 ▲학생총투표 ▲전체학생대표자회의(이하 전학대회) ▲총학생회장단 및 산하기구 ▲동아리연합회 ▲재정 ▲선거 ▲회칙개정 등 총 9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총칙)에서는 주로 회원(학사과정 재학 학생)이 지닌 권리와 의무 및 총학생회와 학교 당국의 관계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제2장(학생총회)은 학생총회의 권한과 소집, 의결 및 탄핵의 내용을 다룬다. 이에 따르면, 총학생회장을 의장으로 한 학생총회는 학생회 최고 의결기구로써, 안건에 대해 회원 1/3 이상의 출석과 출석회원 과..

    2016.04.12

  • [기초학부 교수 인터뷰 #4] 이창훈 교수를 만나다.

    DGIST 기초학부 생명과학 교과 이창훈 교수 인터뷰 Q. 교수직은 디지스트가 처음이라고 들었는데, 2년간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느낀 점은?- 박사후 연구원 하고 나서 한국에서의 첫 직장이 여기 디지스트이다. 강단에 선 것은 2년 정도지만 부임해서 일을 시작한 것은 2012년부터였다. 처음 왔을 때에 비해 많은 것이 바뀌었고, 내가 새로 배운 것도 있지만, 초심만은 잃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전에 가르쳐본 경험이 아예 없냐고 하면 그건 아니다. 대학원생 때 한두 명 정도 가르치거나 교수님을 돕는 조교 역할은 해보았다. 하지만 50명, 많게는 100명이 되는 학생들 앞에 서보니 긴장이 많이 된다. 잘 못 믿겠지만 이번 학기 초에도 걱정을 많이 했고, 여전히 긴장된다. 그래도 해가 지나면서 조금씩 발전하..

    2016.04.08

아침식사, 드시나요?

학생의 목소리와 학생팀의 입장 DGIST는 기초학부생의 아침 식사를 권장하기 위해 의무조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제시간에 아침 식사를 못 하는 학생들의 편의를 위해 일반식과 별도로 간편식을 8시 40분부터 10시까지 제공하고 있다.그러나 아침 식사에 대해 불만은 여전한 듯하다. 이에 DNA에서 지난 5월 1일부터 5월 3일까지 3일간 기초학부생과 대학원생 260명(14학번 62명, 15학번 70명, 16학번 107명, 대학원생 21명)을 대상으로 조식 제도에 관한 학생들의 의견을 들어보았다.‘아침 식사를 얼마나 자주 하는가’라는 질문에는 ▲매일 먹음(19%) ▲일주일에 3~4번(32%) ▲일주일에 1~2번(29%) ▲먹지 않음(18%)이라 답하였다. 아침 식사를 하지 않는 이유로는 ▲일어나기 힘들..

사회 2016. 6. 17. 18:11

바둑용어, 어디까지 알아봤니?

최근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대국은 많은 사람들에게 큰 화제가 되었다. 인공지능과 사람의 대결이라는 주제도 충분히 화제가 될 만 했지만, 대결 종목인 바둑 역시 빠트릴 수 없는 토픽 중 하나였다. ‘바둑’이라는 종목 자체는 일반인들에게 매우 생소할 수도 있지만, 필자는 이번 글에서 바둑이 일상생활 속에 꽤나 많이 녹아있었다는 것을 독자들에게 소개해주고 싶다. 먼저 가장 대표적인 용어로, ‘정석’이 있다. ‘수학의 정석’이란 단어를 통해 익숙해져 있을 ‘정석’은 대다수가 선택하는 옳은 방법 정도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바둑에서 유래된 용어인 정석은 처음에 쓰이던 상황과는 그 쓰임새가 많이 달라졌다. 바둑에서 일컫는 정석은 돌을 두는 순서를 말한다. 이는 흑과 백 둘 다에게 치우침 없이 공격과 ..

문화 2016. 4. 27. 20:06

피자와 함께 하는 수학의 밤, 오는 29일 열려

L30에서 오후 4시 30분부터 시작 오는 4월 29일 오후 4시 30분, DGIST 기초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L30에서 수학에 대한 토의의 장이 열린다. 이 행사는 DGIST 기초학부의 수학분야 진로 탐색 프로그램의 일환이며, 최근 변경된 부분을 포함한 DGIST 수학 교과 전반에 대한 소개와 강의 지도가 목적이다. 이 행사를 담당한 한강진 교수는 “수학을 통해 연구원 이외에 응용하여 어떤 일을 할 수 있는가의 사례를 들어볼 것이며, 이와 관련하여 수학기반 스타트업인 ‘감성수학레드’를 창업하신 김종락 교수(서강대 수학과)를 초청하여 ‘수학기반 스타트업의 현황과 전망’에 대한 강연의 시간도 가질 것이다.” 라고 말했다. 본 행사에서는 30분간의 DGIST 수학 교과 설명회 및 진로 관련 토의도 있을 예..

사회 2016. 4. 27. 19:31

E3 벽재마감재(화강석)탈락사고, 사고의 원인과 대처는?

인명피해는 없으며, 전체 동을 대상으로 안전점검 시행 예정 지난 22일, E3 5층에서 화강석 타일이 추락하는 사고가 있었다. DGIST 시설팀과 서브원 관계자 측에 의하면, 이번 사고는 벽재마감재로 쓰인 화강석 타일 6장(장당 30kg, 총 180kg)이 제대로 부착되지 않아서 일어나게 된 시공 불량 사고이다. 건물과 타일을 시공한 업체는 현대건설이며, 이번 사고는 공사하자기간에 발생한 사고이므로 시공사 측에 책임이 있다. DGIST 시설팀장은 “사고 재발 우려로 1층 통로 일부를 봉쇄하였으며, 파편으로 인한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티로폼을 바닥에 깔아둘 것이며, 이번 사고를 계기로 사고가 나지 않은 나머지 대학원 건물을 대상으로 한 안전점검이 시행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현대건설 측에서 보수작업..

사회 2016. 4. 27. 19:29

FGLP – UC Berkeley 참여 학생, 기숙사 자리 부족으로 불편 겪어

C 세션 기숙사 대신 D 세션 기숙사로 변경하여 신청해 FGLP – UC Berkeley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현지 기숙사의 자리 부족으로 인해 참여 세션을 변경하는 불편을 겪었다. 일부 기숙사가 보수를 위한 공사를 진행하고, 중국에서의 UC Berkeley 여름 학기 신청이 늘어나면서 기숙사의 공급은 줄고 수요는 늘어나게 된 것이 주된 요인이다. UC Berkeley의 여름 학기는 신청하는 세션에 따라 과목의 종류와 수강 기간이 달라지며(6주, 8주) 그와 함께 기숙사의 종류도 달라진다. DGIST의 원래 계획은 학생들이 8주간 머물 수 있는 C 세션 기숙사를 배정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학생들이 강의를 선택할 땐 6주 과정의 D 세션과 8주 과정의 C 세션에서 강의를 각각 하나씩 선택하여,..

사회 2016. 4. 12. 14:05

DGIST 내에서 열린 지적설계 강연

유사과학이란 이유로 학생들 사이에서 논란 일어 3월 26일부터 4월 30일까지 DGIST 내에서 Research Association for Signatures Of Nature의 주최로 매주 토요일마다 총 6번에 걸쳐 지적설계(Intelligent Design)에 관한 강연이 펼쳐져 논란이 일고 있다. 이 강연의 주제는 열리는 순서대로 ▲인체와 창조 ▲세포에서 바라보는 지적설계 ▲과학적 관점과 역사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시간의 과학” ▲”Why Won’t They Listen?” ▲내가 생물 창조를 믿는 이유 ▲자연과 창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듯 강연의 주제부터가 흔히 유사과학이라고 말하는 창조과학, 즉, 지적설계를 연상시킬 수 있는 주제들로 이루어져 DGIST 학생들의 대부분은 진화론이 정설인 현재..

사회 2016. 4. 12. 13:58

DGIST 총학생회 학생회칙 초안 공고

DGIST 총학생회 집행부는 지난해부터 올해 3월까지 수정을 거친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융복합대학 총학생회 학생회칙(이하 학생회칙)’ 초안을 학부과정 재학 중인 모든 학생에게 개별 메일로 공고하였다. 학생회칙은 ▲총칙 ▲학생총회 ▲학생총투표 ▲전체학생대표자회의(이하 전학대회) ▲총학생회장단 및 산하기구 ▲동아리연합회 ▲재정 ▲선거 ▲회칙개정 등 총 9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총칙)에서는 주로 회원(학사과정 재학 학생)이 지닌 권리와 의무 및 총학생회와 학교 당국의 관계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제2장(학생총회)은 학생총회의 권한과 소집, 의결 및 탄핵의 내용을 다룬다. 이에 따르면, 총학생회장을 의장으로 한 학생총회는 학생회 최고 의결기구로써, 안건에 대해 회원 1/3 이상의 출석과 출석회원 과..

사회 2016. 4. 12. 13:52

[기초학부 교수 인터뷰 #4] 이창훈 교수를 만나다.

DGIST 기초학부 생명과학 교과 이창훈 교수 인터뷰 Q. 교수직은 디지스트가 처음이라고 들었는데, 2년간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느낀 점은?- 박사후 연구원 하고 나서 한국에서의 첫 직장이 여기 디지스트이다. 강단에 선 것은 2년 정도지만 부임해서 일을 시작한 것은 2012년부터였다. 처음 왔을 때에 비해 많은 것이 바뀌었고, 내가 새로 배운 것도 있지만, 초심만은 잃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전에 가르쳐본 경험이 아예 없냐고 하면 그건 아니다. 대학원생 때 한두 명 정도 가르치거나 교수님을 돕는 조교 역할은 해보았다. 하지만 50명, 많게는 100명이 되는 학생들 앞에 서보니 긴장이 많이 된다. 잘 못 믿겠지만 이번 학기 초에도 걱정을 많이 했고, 여전히 긴장된다. 그래도 해가 지나면서 조금씩 발전하..

DGIST 사람들 2016. 4. 8. 19:0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12
다음
  • 매체소개 | 규정 | 외부기고




디지스트신문 DNA : DGIST News & Analysis © 디지스트 신문 DNA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