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국적을 떠나 하나 된 마음으로, 월드프렌즈코리아(WFK) IT 봉사단을 만나다
지난 7월 3주간, 국제교류팀은 한국지능정보화진흥원(NIA)과 함께 베트남 껀터대학교 ICT 단과대학에 월드프렌즈코리아(이하 WFK) IT 봉사단을 파견했다. 봉사단은 하계방학 기간 동안 IT 교육, 프로젝트 진행과 문화교류 활동 등 다양한 봉사 활동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국가 간 정보격차를 해소하는데 이바지했다. 디지스트신문 DNA는 총 12인의 봉사 단원 중 박지현 학생(‘23)을 만났다. Q. WFK IT 봉사단의 구성과 소개를 부탁한다.IT 봉사단은 WFK에서 활동지원금을 지원받아 해외 협력국 주민들의 ICT 역량 개발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봉사단이다. 봉사단은 ▲멀티미디어팀 ▲아두이노팀 ▲IT project팀 ▲문화교육팀 총 4팀으로 구성되었다.멀티미디어팀과 아두이노팀, 문화교육팀은 매주 ..
2024.10.01
-
2024 DGIST 생명과학 국제심포지움 개최
지난 26일부터 27일까지 뉴바이올로지학과 및 뇌과학과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2024 DGIST 생명과학 국제심포지움이 열렸다. 본래 학술정보관 세미나실에서 진행 예정이었던 행사는 참석자 증가로 인해 E7 대강당(L29)으로 장소를 옮겨 진행했다. 이틀에 걸친 심포지움은 총 3개 세션 9개 발표로 구성되었다. 도쿄대의 ▲야마다 야스히로 ▲사이토 히로히데, 교토대의 ▲야마모토 타쿠야, DGIST의 ▲서진수 ▲이재민 ▲곽준명 ▲김민환 ▲김태완 ▲정영태 교수가 발표자로 참여하였으며, DGIST의 대학원생 및 학부생 다수가 청중으로 참석하였다.이번 심포지움이 연구자 간에 서로의 발전을 돕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는 뇌과학과장 이효상 교수의 폐회사를 끝으로 행사는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박재영 기자 jaeyoung..
2024.09.30
-
E7 L41 총학생회 회의실, 학부생 일반에 24시간 개방
지난 23일 총학생회가 E7 L41의 총학생회 회의실(이하 회의실)을 학부생 일반에 개방했다. Gate 4 앞에 위치한 회의실은 앞으로 주말과 공휴일을 포함해 24시간 개방될 예정이며, 회의실 앞에 놓인 수기 대장을 작성한 후 이용 가능하다. 회의실에는 ▲책상 ▲의자 ▲화이트보드 ▲빔프로젝터 등 편의용품이 비치되어 있으며, 프린터 비치에 대해서도 논의 중이다. 총학생회는 회의와 모임, 음식 섭취 등을 허용했으며 퇴실 시 깔끔한 자리 정리를 당부했다.총학생회장단 We’D는 당선 직후 디지스트신문 DNA와의 인터뷰에서 ‘원내 죽은 공간 활용 계획’에 대해 밝힌 바 있다. (관련 기사) 일과 시간에는 예약제 회의실로 운영하려 계획했으나 비예약제 공용 공간으로 운영 방향을 변경한 점에 대해, 김민성 학부 총학생..
2024.09.28
-
[속보] DGIST 영재학교 설치 관련 대경과기원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금일 DGIST에 과학영재학교를 설치하고 전문 석사 학위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근거를 담은 대구경북과학기술원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본 개정안은 한때 DGIST 원장을 지낸 이인선 의원(국민의 힘, 대구 수성구 을)이 대표 발의하였다. 권대현 기자 seromdh@dgist.ac.kr
2024.09.26
-
DGIST 영재학교 설치 관련 대경과기원법 개정안 입법 마무리 단계 돌입
지난 25일, 법제사법위원회에서 대구경북과학기술원법 일부개정법률안이 통과되며, 입법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이번 개정안은 DGIST에 과학영재학교를 설립할 수 있도록 하는 법률적 근거를 추가하는 내용을 가진다. 지난 21대 국회에서 비슷한 내용을 가진 법안이 발의된 바 있으나 임기가 만료되며 폐기되었고, 한때 DGIST 원장을 지낸 적 있는 이인선 의원(국민의 힘, 대구 수성구 을)에 의해 7월 초 개정안이 다시 발의되었다. 이번 개정안이 통과되기 위해서는 아직 본회의 심사 과정이 필요하다. 최근 22대 국회가 여야 파행을 이어가고 있으나, 해당 사안을 담당하고 있는 DGIST 신사업추진단 관계자는 여야 정쟁 대상 법안이 아닌 만큼 문제없는 법안 통과를 예상한다고 전했다. 더불어 법안이 통과되는 것이..
2024.09.26
-
국제교류팀, FGLP 지원 축소설은 사실무근
최근 원내에 FGLP 제도 지원에 관한 여러 소문이 돌고 있다. 신입생 글로벌 리더십 프로그램 FGLP(Freshmen Global Leadership Program)는 일정 이상의 어학성적을 갖춘 재학생에게 1000만 원 이상의 장학금을 지원해 해외 유수의 대학에서 여름 학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DGIST의 대표적인 학생 국제 교류 지원 사업이다. 지금껏 많은 인기를 끌었으나, 이에 대해 확인되지 않은 우려의 목소리와 소문 또한 지속적으로 존재했다. 최근 학생들 사이에서 FGLP의 지원이 줄어들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다. 이번 여름 진행된 2024년도 FGLP에서 과도한 예산을 사용하여 오는 2025년도 사업에서는 예산이 줄어들 것이라는 내용이었다. ▲1인당 지원 예산 금액에 상한선을 설정해 지원 규..
2024.09.21
-
총학생회 공동포럼, 대학생 토론회 개최... 김민성 총학생회장도 참여
지난 26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서울시 청년 정책 및 학생 자치 활성화를 위한 대학생 토론회’가 진행되었다. 서울시의회가 주최하고 한국대학총학생회 공동포럼(이하 공동포럼)과 서울시의회 더불어민주당이 주관한 본 행사에는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과 박강산 서울시의원을 비롯한 서울시의회 인원이 함께했으며, 김민성 DGIST 학부 총학생회장(이하 김 회장)과 함형진 연세대학교 총학생회장을 비롯한 9개 대학(▲경희대 ▲고려대 ▲서강대 ▲서울대 ▲연세대 ▲DGIST ▲GIST ▲KAIST ▲UNIST)의 전현직 총학생회 집행부 인원이 발언하였다. 김 회장은 이번 토론회에서 학생 자치의 활성화에 대해 발언하였다. 학생 자치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학생회를 통한 변화의 힘이 강하다는 인식을 평학생에게 퍼지도록..
2024.09.03
-
인턴십 필수 이수 학점, 기존 2학점에서 1학점으로 축소 운영
23일 학사팀은 인턴십 필수 이수 학점에 대해 2024년 2학기부터 23학번 이후 학번을 대상으로 기존 2학점에서 1학점으로 축소 운영한다고 밝혔다. 인턴십 학점이란 자교 및 해외 대학원, 산업체에서 인턴십을 진행하고 이를 학점으로 인정하는 제도이다. 현재 DGIST 교육과정상 졸업을 위해서는 총 2학점의 인턴십을 이수해야 한다. 이번 변경을 통해 23학번부터 인턴십 학점을 1학점만 이수하여도 졸업이 가능하며, 추가로 3학점은 선택적으로 이수할 수 있다. 다만 이수학점의 형평성이나 역차별 문제로 인해 인턴십 필수 이수 학점의 축소는 23학번부터 적용되며, 22학번 이상은 기존대로 2학점을 모두 이수해야 한다. 이에 대해 학생 사회는 과도하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던 인턴십 학점의 부담이 경감된다..
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