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DGIST 학생의 눈으로 본 지방선거 ④: 달성군의회 의원 선거
DGIST 학생 중 현풍·유가지역 유권자는 827여명이다. 현풍·유가·구지지역 인구수는 총 63,897명으로, 실제 유권자 수는 이보다 적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DGIST 학생은 현풍·유가·구지 선거구에서 이뤄지는 시의원, 군의원 선거에서 1~2% 이상의 득표를 좌지우지 할 수 있다는 의미다. 지방선거에서, 특히 시의원과 군의원 선거에서 DGIST 학생의 존재감은 그만큼 크다.6월 1일 지방선거가 코 앞으로 다가왔다. 사전투표는 5월 27일부터 28일까지 시행된다. 지방선거는 다른 선거보다 더더욱 지역과 생활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DGIST 학생에게 당장 와닿는 공약이 많다. 현풍·유가에서 살아가는 DGIST 학생의 이해를 돕기 위해 지방선거 후보들의 공약을 분석한다. 달성군의회의원 후보자는..
2022.05.27
-
DGIST 학생의 눈으로 본 지방선거 ③: 대구광역시의회 의원 선거
DGIST 학생 중 현풍·유가지역 유권자는 827여명이다. 현풍·유가·구지지역 인구수는 총 63,897명으로, 실제 유권자 수는 이보다 적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DGIST 학생은 현풍·유가·구지 선거구에서 이뤄지는 시의원, 군의원 선거에서 1~2% 이상의 득표를 좌지우지 할 수 있다는 의미다. 지방선거에서, 특히 시의원과 군의원 선거에서 DGIST 학생의 존재감은 그만큼 크다.6월 1일 지방선거가 코 앞으로 다가왔다. 사전투표는 5월 27일부터 28일까지 시행된다. 지방선거는 다른 선거보다 더더욱 지역과 생활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DGIST 학생에게 당장 와닿는 공약이 많다. 현풍·유가에서 살아가는 DGIST 학생의 이해를 돕기 위해 지방선거 후보들의 공약을 분석한다. DGIST 학생 중 현..
2022.05.27
-
DGIST 학생의 눈으로 본 지방선거 ②: 달성군수 선거
달성군에 병원 유치하겠다는 군수 후보들, 그들의 공약지난 3월 9일 대선의 여운이 사라지기도 전에, 지방선거가 찾아왔다. DGIST가 위치한 현풍읍 및 인근 주거지역인 유가읍에 주소지를 둔 구성원이 이번 선거에서 선출하는 공직 중, 시장보다도 실생활에 보다 밀접한 달성군수의 공약을 살펴보았다. 6월 1일 지방선거가 코 앞으로 다가왔다. 사전투표는 5월 27일부터 28일까지 시행된다. 지방선거는 다른 선거보다 더더욱 지역과 생활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DGIST 학생에게 당장 와닿는 공약이 많다. 현풍·유가에서 살아가는 DGIST 학생의 이해를 돕기 위해 지방선거 후보들의 공약을 분석한다. 지난 3월 9일 대선의 여운이 사라지기도 전에, 지방선거가 찾아왔다. DGIST가 위치한 현풍읍 및 인근 ..
2022.05.27
-
DGIST 학생의 눈으로 본 지방선거 ①: 대구광역시장 선거
6월 1일 지방선거가 코 앞으로 다가왔다. 사전투표는 5월 27일부터 28일까지 시행된다. 지방선거는 다른 선거보다 더더욱 지역과 생활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DGIST 학생에게 당장 와닿는 공약이 많다. 현풍·유가에서 살아가는 DGIST 학생의 이해를 돕기 위해 지방선거 후보들의 공약을 분석한다. 어느 후보를 뽑을지 결정할 때는 공약뿐 아니라 ▲그 사람이 부패를 저지를 사람은 아닌가 하는 평판 ▲공약을 지킬거라고 믿을만한 사람인가 하는 신뢰성 ▲또 한 말을 지킬 수 있는가 하는 능력 등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한다. 공약을 제시했더라도 지키지 않거나 겉치레만 하면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공약은 후보자가 어떤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또 얼마나 구체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
2022.05.27
-
21대 총선 정당 알아보기
오는 4월 15일 21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진다. 이번 21대 총선에서는 준연동형비례대표제를 골자로 한 선거법 개정이 이루어지며 많은 정당이 통합되거나 새롭게 생겨났다. 특히 비례대표 선거를 위한 전략적 정당까지 등장하며 선거판이 복잡해졌다. 좀 더 현명한 투표를 위해 각 정당이 어떤 정당들인지 간단히 알아보자. 이번 21대 총선에는 41개 정당이 참여하고, 21개 정당에서 1118명의 지역구 후보를 등록하였고, 35개 정당에서 312명의 비례대표 후보자를 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에서는 의석수가 5석 이상인 정당이나, 지난 선거에서 3% 이상의 정당지지율을 얻은 정당에 대해 전국 통일기호를 부여한다. 이번 총선에는 6개 정당이 해당한다. 의석수 순서대로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민생..
2020.04.1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무엇이 바뀌었나
다가오는 4월 15일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일로, 국민의 대표자를 뽑는 중요한 날이다. 특히 이번 국회의원 선거(이하 4.15 총선)의 경우, 기존의 선거와 바뀐 점이 많아 학부생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번 총선부터 바뀐 점을 DNA가 짚어보았다. 이번 총선에서 가장 크게 변화된 점은 선거 연령과 비례대표제이다. 지난 1월 14일, 공직선거법에 개정됨에 따라 선거 연령이 기존 19세 이상에서 18세 이상의 국민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에 따라 선거일 기준 18세 이상인, 2002년 4월 16일 이전 출생자 역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 선거법 개정으로 인해 이번 4.15 총선에는 대다수의 신입생이 투표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기존 선거법에 따르면 19세 이상만 투표가 가능함..
2020.04.08
-
[르포] 다녀왔습니다, 대학로 921 기후위기비상행동
지난 21일, 혜화역에서 기후위기비상행동 집회 열려4천명 시민들, '지금이 아니면 내일은 없다!' 지난 9월 21일 오후 3시 혜화역에서 기후위기비상행동 집회가 열렸다. 대조적으로 바로 옆, 마로니에 공원에서는 종로한복축제가 한창이었고, 줄타기를 구경하는 인파가 가득했다. 한쪽에서는 옛 문화를 즐기고, 다른 쪽에서는 "지금이 아니면 내일은 없다! 기후위기 지금 말하고 당장 행동하라!"를 외치는 사람들로 발 디딜 틈 없었다. 혜화역 출구 앞 우측도로 300m 거리를 통제하여 진행된 본 집회는, 당일 주최 측에서 4천 명의 인파가 몰렸다고 알렸다. 모인 사람들은 다음 세 가지 핵심요구사항을 제시했다. ▲정부는 기후위기를 인정하고, 비상선언을 실시하라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제로 계획을 수립하고, 기후정의에 입..
2019.10.12
-
전문연 어디로 가야 하나... 전문연 제도혁신 토론회 개최
지난달 31일 KAIST에서 ‘전문연구요원(이하 전문연) 제도혁신을 위한 4개 과기원 토론회’가 개최되었다. 이날 토론회는 개회사, 축사, 주제 발표, 토론 및 질의응답 순으로 이어졌다. 토론 및 질의응답 시간에는 패널들과 참석한 학생들간 논의가 오갔다. 토론에는 ▲김소영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이기훈 GIST 안보과학기술센터 교수▲이정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인재정책센터장 ▲이창훈 DGIST 입학처장 ▲박명곤 UNIST 대학원 총학생회장이 참여하였고, 김소영 교수가 좌장을 맡았다. 김소영 교수와 이기훈 교수가 각각 주제를 발표했다. 김 교수는 ‘특례와 특혜 사이’라는 제목으로 주제를 발표하였다. 전문연 제도는 특혜가 아니라 대체복무로서의 특례임을 주장하였다. 이기훈 교수는 ‘..
2019.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