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 전체
  • 캠퍼스
  • 사회
  • 문화
  • DGIST 사람들
  • 학술
  • 오피니언
  • 학생토론회
  • 지면보기
  • 포토
  • English
  • 규정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
  • 캠퍼스
  • 사회
  • 문화
  • DGIST 사람들
  • 학술
  • 오피니언
  • 학생토론회
  • 지면보기
  • 포토
  • English
  • 규정
  • 분류 전체보기 (909)
    • 캠퍼스 (303)
    • 사회 (62)
    • 문화 (146)
    • DGIST 사람들 (94)
    • 학술 (48)
    • 주간소식 (119)
    • 오피니언 (57)
    • 지면보기 (21)
    • 포토 (36)
    • English (6)
    • 디지스트신문 DNA 주최 학생토론회 (1)
    • DNA툰 (14)
      • 잡생각 (2)
      • 디지밖세상(완) (2)
      • 허니디지(완) (9)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사회

  • 총학생회 공동포럼, 제1차 백문백답 토론회로 한동훈과 간담… DGIST 측도 의견 개진해

    금일(6일), 한국대학총학생회 공동포럼(이하 공동포럼)이 ‘2025 대학생시국포럼: 제1차 백문백답 토론회’를 진행해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이하 한 전 대표)를 만났다. 이번 행사는 DGIST를 포함하여 ▲고려대 ▲서강대 ▲연세대 ▲한국외대 ▲GIST ▲KAIST ▲POSTECH ▲UNIST 9개교의 총학생회와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가 공동으로 주최하였다. 한 전 대표는 지금과 같은 불안정한 정국을 만든 점에 대해 대학생들에게 사과를 전하며 토론회를 시작했다. 한 전 대표는 ‘그리스인 조르바’라는 책을 통해 ‘자유’의 가치를 믿게 되었다며,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통해 자유민주주의를 헤쳤기 때문에 여당 대표임에도 탄핵에 앞장섰다 밝혔다. 더불어 계엄 당일 이를 막아선 순간 “엿됐다”고 생각했다고..

    2025.03.06

  • 총학생회 공동포럼, 인요한 통해 국민의힘에 정책 전달… DGIST 총학도 참여

    지난 1일 한국대학총학생회 공동포럼(이하 공동포럼)이 연세대학교 학생회관에서 인요한 의원(이하 인 의원) 과 함께 ‘국민의힘 정책 전달식’을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 8월 출범한 공동포럼 내 국회 대학생 입법추진단(이하 입법추진단)이 그간 연구하여 작성한 정책 제안서를 인 의원에게 전달하는 것으로 시작했으며, 해당 법안들의 취지와 내용에 관해 설명하고, 30분가량 간담회를 이어갔다 . 이번 행사에서 입법추진단이 전달한 정책 제안서는 이민재 DGIST 총학생회장(`23)을 비롯해 ▲연세대 ▲KAIST 등 공동포럼 운영위원교의 총학생회장단이 작성하고 의결하였다.이번 정책 제안서에는 ▲대학 기숙사비 분할 납부를 보장하는 고등교육법 개정안 ▲임대차 3법 설명 의무 신설 등 내용을 담은 공인중개사법 개정안..

    2025.03.02

  • [속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금일(14일) 국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가결했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결정 전까지 윤석열 대통령의 권리 행사는 정지되며, 한덕수 국무총리가 권한대행을 맡는다.권대현 기자 seromdh@dgist.ac.kr

    2024.12.14

  • DGIST 교수평의회 소속 교수 75인, 윤석열 탄핵 요구 시국 선언문 발표

    금일(13일) DGIST 교수평의회 소속 교수 75인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요구하는 시국 선언문을 발표했다. 교수평의회 소속 교수들은 윤석열 대통령이 선언한 위헌적인 계엄 선포가 시민들의 무수한 희생으로 일구어 온 민주주의를 짓밟았다고 평가했다. 동시에 대통령의 직무를 즉각 정지하는 것만이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는 유일한 길이라 호소하며 탄핵을 촉구했다. 시국 선언은 뇌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서병창 DGIST 교수평의회장(이하 서 회장)이 시국 선언의 배경을 밝히는 것으로 시작했다. 서 회장은 DGIST가 보수의 중심인 대구에 있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대구시와 달성군 지자체와 협력하며 발전해 나가는 기관이기 때문에 목소리 내는 것에 고민이 깊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지난 7일 국회에서 탄핵소추안 표결이 ..

    2024.12.13

  • 전학대회, 비상계엄 규탄 성명문 발표, 타대와의 공동성명문에도 참여키로… 총학 차원의 오프라인 집회 참여는 부결

    지난 8일 23시경, DGIST 전체학생대표자회의(의장 김민성, 이하 전학대회)가 윤석열 대통령의 이번 비상계엄 사태 관련 성명문을 작성하기로 의결하고, 금일 10시 단독성명문을 발표했다.(DGIST 전학대회 성명문 링크) 전학대회 이름으로 작성된 이번 단독성명문은 비상계엄이 헌법과 삼권분립의 원칙을 파괴했으며, 학문의 자유와 교육권을 위협할 여지가 있었다는 점을 지적했다. 덧붙여 헌법 전문이 명시한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 이념”과 “자유민주적 기본 질서” 등을 강조하며 민주주의를 향한 의지를 보였다. 이번 단독성명문에는 전학대회 대의원 만장일치로 실명을 기재하였다.또한 이번 전학대회는, 한국대학총학생회공동포럼에서 출범한 ‘비상계엄 대응을 위한 전국 총학생회 공동행동’(구 한국대학총학생회공동행동,..

    2024.12.09

  • [속보] 학생총회 무산, 익일 학생총투표 진행

    금일 오후 12시 30분, 김민성 총학생회장이 E1 컨벤션홀과 온라인 화상 회의 플랫폼에서 학생총회를 개최하려 했으나, 정족수 부족으로 무산되었다. 지난 4일 긴급하게 진행한 전체학생대표자회의(의장 김민성)가 개회를 의결한 이번 학생총회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에 대해 의견을 나눌 예정이었다. 정족수 부족으로 인해 공식 개회는 하지 못했지만, 자리에 모인 수십 명의 학생들은 총학생회 명의의 단독 성명문 발표 여부 등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고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김민성 총학생회장은 이번 학생총회 무산으로 학생들의 의견을 모으지 못했으니, 총학생회칙에 따라 오는 6일 온라인상에서 학생총투표를 진행해 앞으로의 대응을 계획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상아 기자 sa0531@dgist.ac.kr

    2024.12.05

  • [속보] 전학대회, 오는 5일 비상계엄 관련 학생총회 긴급 개회 의결… 최소 정족수는 전체 학부생의 1/3

    금일 오후 5시 30분 긴급 개회된 DGIST 전체학생대표자회의(의장 김민성)가 오는 5일 12시 30분에 E7 L29 대강당과 온라인 화상 회의 플랫폼에서 학생총회를 개회하기로 의결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이번 비상계엄 관련 성명서 채택이 이번 학생총회의 주된 안건으로 상정될 예정이다. 학생총회는 DGIST 총학생회칙 제14조에 따라, 총학생회 회원의 1/3 이상이 출석해야 개회할 수 있다. 다음은 오는 학생총회의 온라인 화상 회의 플랫폼 링크이다. https://meet.google.com/brr-dqnr-jnc 권대현 기자 seromdh@dgist.ac.kr

    2024.12.04

  • [속보] 윤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총학생회는 학생 대변 약속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민주화 이후 첫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계엄포고령에 따라 국회를 비롯한 여타 정치적 활동은 금지되며, 언론과 출판은 계엄사의 통제를 받는다. 이에 대해 김민성 총학생회장은 디지스트신문 DNA>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어떤 상황에서도 학생들을 대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 한편, 학생들은 안전을 위해 우선 계엄포고령의 내용을 준수하며 대기해달라고 당부했다.권대현 기자 seromdh@dgist.ac.kr

    2024.12.04

총학생회 공동포럼, 제1차 백문백답 토론회로 한동훈과 간담… DGIST 측도 의견 개진해

금일(6일), 한국대학총학생회 공동포럼(이하 공동포럼)이 ‘2025 대학생시국포럼: 제1차 백문백답 토론회’를 진행해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이하 한 전 대표)를 만났다. 이번 행사는 DGIST를 포함하여 ▲고려대 ▲서강대 ▲연세대 ▲한국외대 ▲GIST ▲KAIST ▲POSTECH ▲UNIST 9개교의 총학생회와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가 공동으로 주최하였다. 한 전 대표는 지금과 같은 불안정한 정국을 만든 점에 대해 대학생들에게 사과를 전하며 토론회를 시작했다. 한 전 대표는 ‘그리스인 조르바’라는 책을 통해 ‘자유’의 가치를 믿게 되었다며,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통해 자유민주주의를 헤쳤기 때문에 여당 대표임에도 탄핵에 앞장섰다 밝혔다. 더불어 계엄 당일 이를 막아선 순간 “엿됐다”고 생각했다고..

사회 2025. 3. 6. 19:07

총학생회 공동포럼, 인요한 통해 국민의힘에 정책 전달… DGIST 총학도 참여

지난 1일 한국대학총학생회 공동포럼(이하 공동포럼)이 연세대학교 학생회관에서 인요한 의원(이하 인 의원) 과 함께 ‘국민의힘 정책 전달식’을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 8월 출범한 공동포럼 내 국회 대학생 입법추진단(이하 입법추진단)이 그간 연구하여 작성한 정책 제안서를 인 의원에게 전달하는 것으로 시작했으며, 해당 법안들의 취지와 내용에 관해 설명하고, 30분가량 간담회를 이어갔다 . 이번 행사에서 입법추진단이 전달한 정책 제안서는 이민재 DGIST 총학생회장(`23)을 비롯해 ▲연세대 ▲KAIST 등 공동포럼 운영위원교의 총학생회장단이 작성하고 의결하였다.이번 정책 제안서에는 ▲대학 기숙사비 분할 납부를 보장하는 고등교육법 개정안 ▲임대차 3법 설명 의무 신설 등 내용을 담은 공인중개사법 개정안..

사회 2025. 3. 2. 21:40

[속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금일(14일) 국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가결했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결정 전까지 윤석열 대통령의 권리 행사는 정지되며, 한덕수 국무총리가 권한대행을 맡는다.권대현 기자 seromdh@dgist.ac.kr

사회 2024. 12. 14. 17:00

DGIST 교수평의회 소속 교수 75인, 윤석열 탄핵 요구 시국 선언문 발표

금일(13일) DGIST 교수평의회 소속 교수 75인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요구하는 시국 선언문을 발표했다. 교수평의회 소속 교수들은 윤석열 대통령이 선언한 위헌적인 계엄 선포가 시민들의 무수한 희생으로 일구어 온 민주주의를 짓밟았다고 평가했다. 동시에 대통령의 직무를 즉각 정지하는 것만이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는 유일한 길이라 호소하며 탄핵을 촉구했다. 시국 선언은 뇌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서병창 DGIST 교수평의회장(이하 서 회장)이 시국 선언의 배경을 밝히는 것으로 시작했다. 서 회장은 DGIST가 보수의 중심인 대구에 있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대구시와 달성군 지자체와 협력하며 발전해 나가는 기관이기 때문에 목소리 내는 것에 고민이 깊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지난 7일 국회에서 탄핵소추안 표결이 ..

사회 2024. 12. 13. 18:38

전학대회, 비상계엄 규탄 성명문 발표, 타대와의 공동성명문에도 참여키로… 총학 차원의 오프라인 집회 참여는 부결

지난 8일 23시경, DGIST 전체학생대표자회의(의장 김민성, 이하 전학대회)가 윤석열 대통령의 이번 비상계엄 사태 관련 성명문을 작성하기로 의결하고, 금일 10시 단독성명문을 발표했다.(DGIST 전학대회 성명문 링크) 전학대회 이름으로 작성된 이번 단독성명문은 비상계엄이 헌법과 삼권분립의 원칙을 파괴했으며, 학문의 자유와 교육권을 위협할 여지가 있었다는 점을 지적했다. 덧붙여 헌법 전문이 명시한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 이념”과 “자유민주적 기본 질서” 등을 강조하며 민주주의를 향한 의지를 보였다. 이번 단독성명문에는 전학대회 대의원 만장일치로 실명을 기재하였다.또한 이번 전학대회는, 한국대학총학생회공동포럼에서 출범한 ‘비상계엄 대응을 위한 전국 총학생회 공동행동’(구 한국대학총학생회공동행동,..

사회 2024. 12. 9. 20:27

[속보] 학생총회 무산, 익일 학생총투표 진행

금일 오후 12시 30분, 김민성 총학생회장이 E1 컨벤션홀과 온라인 화상 회의 플랫폼에서 학생총회를 개최하려 했으나, 정족수 부족으로 무산되었다. 지난 4일 긴급하게 진행한 전체학생대표자회의(의장 김민성)가 개회를 의결한 이번 학생총회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에 대해 의견을 나눌 예정이었다. 정족수 부족으로 인해 공식 개회는 하지 못했지만, 자리에 모인 수십 명의 학생들은 총학생회 명의의 단독 성명문 발표 여부 등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고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김민성 총학생회장은 이번 학생총회 무산으로 학생들의 의견을 모으지 못했으니, 총학생회칙에 따라 오는 6일 온라인상에서 학생총투표를 진행해 앞으로의 대응을 계획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상아 기자 sa0531@dgist.ac.kr

사회 2024. 12. 5. 17:15

[속보] 전학대회, 오는 5일 비상계엄 관련 학생총회 긴급 개회 의결… 최소 정족수는 전체 학부생의 1/3

금일 오후 5시 30분 긴급 개회된 DGIST 전체학생대표자회의(의장 김민성)가 오는 5일 12시 30분에 E7 L29 대강당과 온라인 화상 회의 플랫폼에서 학생총회를 개회하기로 의결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이번 비상계엄 관련 성명서 채택이 이번 학생총회의 주된 안건으로 상정될 예정이다. 학생총회는 DGIST 총학생회칙 제14조에 따라, 총학생회 회원의 1/3 이상이 출석해야 개회할 수 있다. 다음은 오는 학생총회의 온라인 화상 회의 플랫폼 링크이다. https://meet.google.com/brr-dqnr-jnc 권대현 기자 seromdh@dgist.ac.kr

사회 2024. 12. 4. 18:56

[속보] 윤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총학생회는 학생 대변 약속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민주화 이후 첫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계엄포고령에 따라 국회를 비롯한 여타 정치적 활동은 금지되며, 언론과 출판은 계엄사의 통제를 받는다. 이에 대해 김민성 총학생회장은 디지스트신문 DNA>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어떤 상황에서도 학생들을 대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 한편, 학생들은 안전을 위해 우선 계엄포고령의 내용을 준수하며 대기해달라고 당부했다.권대현 기자 seromdh@dgist.ac.kr

사회 2024. 12. 4. 00:3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 8
다음
  • 매체소개 | 규정 | 외부기고




디지스트신문 DNA : DGIST News & Analysis © 디지스트 신문 DNA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