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 전체
  • 캠퍼스
  • 사회
  • 문화
  • DGIST 사람들
  • 학술
  • 오피니언
  • 학생토론회
  • 지면보기
  • 포토
  • English
  • 규정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
  • 캠퍼스
  • 사회
  • 문화
  • DGIST 사람들
  • 학술
  • 오피니언
  • 학생토론회
  • 지면보기
  • 포토
  • English
  • 규정
  • 분류 전체보기 (916) N
    • 캠퍼스 (307) N
    • 사회 (62)
    • 문화 (147)
    • DGIST 사람들 (95) N
    • 학술 (48)
    • 주간소식 (119)
    • 오피니언 (58)
    • 지면보기 (21)
    • 포토 (36)
    • English (6)
    • 디지스트신문 DNA 주최 학생토론회 (1)
    • DNA툰 (14)
      • 잡생각 (2)
      • 디지밖세상(완) (2)
      • 허니디지(완) (9)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코로나 기부에 동참한 DGIST 학생들, 총 모금액은 202만 353원

    -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부되어 코로나19 방역/의료/취약계층 물품지원 목적으로 사용 – 지난 3월 9일부터 16일까지 총 8일 동안 DGIST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손을 모았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이후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대구지역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성금을 전달하기 위함이었다. DGIST 학부생,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모금행사에서는 116회, 총 202만 353원이 모였다(최고 금액 10만 원, 최저 금액 1,339원). DGIST 총학생회 ‘미쁨’은 DGIST 구성원들의 메일과 Facebook 총학생회 페이지를 통해 본 기부행사를 장려하였다. DGIST는 코로나19의 여파가 큰 대구 지역에 있는 학교이다. 총학생회는 ‘학교의 구성원으로서 지역사회의 위기를 함께 극복하고 구성원..

    2020.04.25

  • 21대 총선 정당 알아보기

    오는 4월 15일 21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진다. 이번 21대 총선에서는 준연동형비례대표제를 골자로 한 선거법 개정이 이루어지며 많은 정당이 통합되거나 새롭게 생겨났다. 특히 비례대표 선거를 위한 전략적 정당까지 등장하며 선거판이 복잡해졌다. 좀 더 현명한 투표를 위해 각 정당이 어떤 정당들인지 간단히 알아보자. 이번 21대 총선에는 41개 정당이 참여하고, 21개 정당에서 1118명의 지역구 후보를 등록하였고, 35개 정당에서 312명의 비례대표 후보자를 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에서는 의석수가 5석 이상인 정당이나, 지난 선거에서 3% 이상의 정당지지율을 얻은 정당에 대해 전국 통일기호를 부여한다. 이번 총선에는 6개 정당이 해당한다. 의석수 순서대로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민생..

    2020.04.1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무엇이 바뀌었나

    다가오는 4월 15일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일로, 국민의 대표자를 뽑는 중요한 날이다. 특히 이번 국회의원 선거(이하 4.15 총선)의 경우, 기존의 선거와 바뀐 점이 많아 학부생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번 총선부터 바뀐 점을 DNA가 짚어보았다. 이번 총선에서 가장 크게 변화된 점은 선거 연령과 비례대표제이다. 지난 1월 14일, 공직선거법에 개정됨에 따라 선거 연령이 기존 19세 이상에서 18세 이상의 국민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에 따라 선거일 기준 18세 이상인, 2002년 4월 16일 이전 출생자 역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 선거법 개정으로 인해 이번 4.15 총선에는 대다수의 신입생이 투표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기존 선거법에 따르면 19세 이상만 투표가 가능함..

    2020.04.08

  • 처음 시도되는 온라인 강의, 교수들의 고민

    온라인 강의가 지속되면서, 교수도 학생만큼 고민이 많다. DGIST 교수는 온라인 강의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지, 이기준 교수와 김대륜 교수를 인터뷰했다. 이기준 교수는 융복합대학장 겸 ▲전자회로와 계측법 ▲현대광학 수업을 하고 있고, 김대륜 교수는 ▲비교역사학 ▲역사와 영화 ▲고전의 산책 수업을 하고 있다. Q. 학교에서 온라인 강의를 위해 제공해주는 것이 무엇이 있는가? 김대륜 교수 학교에서는 온라인 강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다양한 설비와 공간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나는 사용하지 않지만 많은 분들이 강의 녹화 들을 위해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Blackboard Collaborate Ultra는 그렇게 어려운 프로그램이 아니라 기술지원을 받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었지만, 연..

    2020.04.03

  • [디지생의 겨울방학] AI 연구를 체험하다. UNIST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인턴 김민주('18)

    2020년 새해 겨울부터 DGIST 학생들의 열정은 뜨겁게 불타고 있다. 학생들은 각자 관심분야를 탐구하고 경험을 축적하기 위해 다양한 도전을 한다. [디지생의 여름방학] 번외편, [디지생의 겨울방학]에서는 이번 겨울동안 색다른 경험을 한 학생들의 사례를 소개한다. Q1.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한다. - 안녕하세요, DGIST 기초학부 3학년에 재학 중인 김민주입니다. 컴퓨터 공학에 관심이 많고, 그 중에서도 AI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Q2. 어떤 연구실에서 인턴 활동을 하였는가. - UNIST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의 김광인 교수님 연구실에서 인턴 활동을 했다. 컴퓨터 비전 분야를 중점으로 연구하시는 교수님이다. Q3. 해당 연구실에 지원하게 된 계기가 있는가. - 컴퓨터공학 분야를 알고..

    2020.03.30

  • [DGIST, 졸업생을 만나다] DGIST 학부생에서 행정원으로, 최윤지(’15) 동문을 만나다

    지난 2월, DGIST E1 505호에 위치한 DGIST 입학팀에서 갓 졸업한 최윤지 동문을 만났다. 지난 1월부터 DGIST 입학팀에 정규직 행정원으로 발령받은 그는, DGIST에서 학부생활을 보낸 까닭인지 사무실에 앉아있는 자리가 익숙해 보였다. 지난 17년 8월, 제주도 게스트하우스 아르바이트로 여름방학을 보내기도 했던 그의 ‘디지생의 여름방학’ 서면인터뷰 기사(https://dgistdna.com/129)를 수정하였던 본 기자는 이번 인터뷰가 더욱더 새로웠다. Q. 자기소개를 간단히 한다면? - DGIST 기초학부 15학번이고, 올해 2월 학위수여를 앞두고 있다. 운이 좋게도 1월에 DGIST 행정직으로 입사해서 현재 입학팀에서 일하고 있다. Q. 인터뷰를 하는 지금 기분이 어떤가? - 새롭다(웃..

    2020.03.28

  • 처음 시도되는 온라인 강의, 학생들은 잘 듣고 있을까

    DGIST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3월 9일부터 온라인 강의를 시행 중이다. 전격적인 온라인 강의는 처음인 만큼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어떤 점을 보완하고 개선해야 할지 알아보기 위해 기초학부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조사는 3월 19일부터 3월 23일까지 5일간 구글 설문 폼을 이용하여 이뤄졌다. 구글 설문 폼 링크는 페이스북 학부생 페이지, DGIST Web Mail로 배포했다. 응답자 총 221명 중 중복 2명, 학번 기재오류 1명은 결과에서 제외했다. (신뢰수준 90%, 표본오차 ±4.8%) 20%의 학생은 제대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다 공부할 환경이 충분한지 알아보기 위한 문항에서, 과제 하면서 친구에게 물어보기 힘들다는 학생은 136명으로 전체..

    2020.03.28

  • [DNA&책] 주머니 속 한국 SF ① : 이산화 『증명된 사실』

    영혼이 존재한다는 것은 증명된 사실이다. 남은 과제는 사후세계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 물리학을 전공한 이남민 박사를 받아준 곳은 산속의 수상한 연구소뿐이었고, 그 연구소에서 박사에게 준 과제가 바로 사후세계를 물리학적으로 증명하는 것이었다. 연구소는 이남민 박사에게 영혼을 보는 소녀를 동료로 붙여주고 각종 고가의 측정 장비를 제공한다. 현장에 가서 영혼을 관찰하고, 수많은 가설을 검토하며 이남민 박사는 마침내 사후세계를 밝혀내고 충격에 휩싸인다. -「증명된 사실」 요약 『증명된 사실』(아작 펴냄)은 동명의 단편소설 「증명된 사실」을 포함, 이산화 작가의 11개의 단편소설을 엮은 SF 단편집이다. 과학기술원을 나온 그의 글에는 과학적 언어들이 많이 녹아들어 있다. 터무니없는 이야기를 과학적 언어로 근사하게..

    2020.03.27

코로나 기부에 동참한 DGIST 학생들, 총 모금액은 202만 353원

-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부되어 코로나19 방역/의료/취약계층 물품지원 목적으로 사용 – 지난 3월 9일부터 16일까지 총 8일 동안 DGIST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손을 모았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이후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대구지역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성금을 전달하기 위함이었다. DGIST 학부생,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모금행사에서는 116회, 총 202만 353원이 모였다(최고 금액 10만 원, 최저 금액 1,339원). DGIST 총학생회 ‘미쁨’은 DGIST 구성원들의 메일과 Facebook 총학생회 페이지를 통해 본 기부행사를 장려하였다. DGIST는 코로나19의 여파가 큰 대구 지역에 있는 학교이다. 총학생회는 ‘학교의 구성원으로서 지역사회의 위기를 함께 극복하고 구성원..

캠퍼스 2020. 4. 25. 09:07

21대 총선 정당 알아보기

오는 4월 15일 21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진다. 이번 21대 총선에서는 준연동형비례대표제를 골자로 한 선거법 개정이 이루어지며 많은 정당이 통합되거나 새롭게 생겨났다. 특히 비례대표 선거를 위한 전략적 정당까지 등장하며 선거판이 복잡해졌다. 좀 더 현명한 투표를 위해 각 정당이 어떤 정당들인지 간단히 알아보자. 이번 21대 총선에는 41개 정당이 참여하고, 21개 정당에서 1118명의 지역구 후보를 등록하였고, 35개 정당에서 312명의 비례대표 후보자를 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에서는 의석수가 5석 이상인 정당이나, 지난 선거에서 3% 이상의 정당지지율을 얻은 정당에 대해 전국 통일기호를 부여한다. 이번 총선에는 6개 정당이 해당한다. 의석수 순서대로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민생..

사회 2020. 4. 10. 18:0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무엇이 바뀌었나

다가오는 4월 15일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일로, 국민의 대표자를 뽑는 중요한 날이다. 특히 이번 국회의원 선거(이하 4.15 총선)의 경우, 기존의 선거와 바뀐 점이 많아 학부생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번 총선부터 바뀐 점을 DNA가 짚어보았다. 이번 총선에서 가장 크게 변화된 점은 선거 연령과 비례대표제이다. 지난 1월 14일, 공직선거법에 개정됨에 따라 선거 연령이 기존 19세 이상에서 18세 이상의 국민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에 따라 선거일 기준 18세 이상인, 2002년 4월 16일 이전 출생자 역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 선거법 개정으로 인해 이번 4.15 총선에는 대다수의 신입생이 투표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기존 선거법에 따르면 19세 이상만 투표가 가능함..

사회 2020. 4. 8. 14:37

처음 시도되는 온라인 강의, 교수들의 고민

온라인 강의가 지속되면서, 교수도 학생만큼 고민이 많다. DGIST 교수는 온라인 강의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지, 이기준 교수와 김대륜 교수를 인터뷰했다. 이기준 교수는 융복합대학장 겸 ▲전자회로와 계측법 ▲현대광학 수업을 하고 있고, 김대륜 교수는 ▲비교역사학 ▲역사와 영화 ▲고전의 산책 수업을 하고 있다. Q. 학교에서 온라인 강의를 위해 제공해주는 것이 무엇이 있는가? 김대륜 교수 학교에서는 온라인 강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다양한 설비와 공간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나는 사용하지 않지만 많은 분들이 강의 녹화 들을 위해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Blackboard Collaborate Ultra는 그렇게 어려운 프로그램이 아니라 기술지원을 받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었지만, 연..

캠퍼스 2020. 4. 3. 20:15

[디지생의 겨울방학] AI 연구를 체험하다. UNIST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인턴 김민주('18)

2020년 새해 겨울부터 DGIST 학생들의 열정은 뜨겁게 불타고 있다. 학생들은 각자 관심분야를 탐구하고 경험을 축적하기 위해 다양한 도전을 한다. [디지생의 여름방학] 번외편, [디지생의 겨울방학]에서는 이번 겨울동안 색다른 경험을 한 학생들의 사례를 소개한다. Q1.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한다. - 안녕하세요, DGIST 기초학부 3학년에 재학 중인 김민주입니다. 컴퓨터 공학에 관심이 많고, 그 중에서도 AI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Q2. 어떤 연구실에서 인턴 활동을 하였는가. - UNIST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의 김광인 교수님 연구실에서 인턴 활동을 했다. 컴퓨터 비전 분야를 중점으로 연구하시는 교수님이다. Q3. 해당 연구실에 지원하게 된 계기가 있는가. - 컴퓨터공학 분야를 알고..

DGIST 사람들 2020. 3. 30. 14:29

[DGIST, 졸업생을 만나다] DGIST 학부생에서 행정원으로, 최윤지(’15) 동문을 만나다

지난 2월, DGIST E1 505호에 위치한 DGIST 입학팀에서 갓 졸업한 최윤지 동문을 만났다. 지난 1월부터 DGIST 입학팀에 정규직 행정원으로 발령받은 그는, DGIST에서 학부생활을 보낸 까닭인지 사무실에 앉아있는 자리가 익숙해 보였다. 지난 17년 8월, 제주도 게스트하우스 아르바이트로 여름방학을 보내기도 했던 그의 ‘디지생의 여름방학’ 서면인터뷰 기사(https://dgistdna.com/129)를 수정하였던 본 기자는 이번 인터뷰가 더욱더 새로웠다. Q. 자기소개를 간단히 한다면? - DGIST 기초학부 15학번이고, 올해 2월 학위수여를 앞두고 있다. 운이 좋게도 1월에 DGIST 행정직으로 입사해서 현재 입학팀에서 일하고 있다. Q. 인터뷰를 하는 지금 기분이 어떤가? - 새롭다(웃..

DGIST 사람들 2020. 3. 28. 16:00

처음 시도되는 온라인 강의, 학생들은 잘 듣고 있을까

DGIST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3월 9일부터 온라인 강의를 시행 중이다. 전격적인 온라인 강의는 처음인 만큼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어떤 점을 보완하고 개선해야 할지 알아보기 위해 기초학부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조사는 3월 19일부터 3월 23일까지 5일간 구글 설문 폼을 이용하여 이뤄졌다. 구글 설문 폼 링크는 페이스북 학부생 페이지, DGIST Web Mail로 배포했다. 응답자 총 221명 중 중복 2명, 학번 기재오류 1명은 결과에서 제외했다. (신뢰수준 90%, 표본오차 ±4.8%) 20%의 학생은 제대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다 공부할 환경이 충분한지 알아보기 위한 문항에서, 과제 하면서 친구에게 물어보기 힘들다는 학생은 136명으로 전체..

캠퍼스 2020. 3. 28. 13:19

[DNA&책] 주머니 속 한국 SF ① : 이산화 『증명된 사실』

영혼이 존재한다는 것은 증명된 사실이다. 남은 과제는 사후세계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 물리학을 전공한 이남민 박사를 받아준 곳은 산속의 수상한 연구소뿐이었고, 그 연구소에서 박사에게 준 과제가 바로 사후세계를 물리학적으로 증명하는 것이었다. 연구소는 이남민 박사에게 영혼을 보는 소녀를 동료로 붙여주고 각종 고가의 측정 장비를 제공한다. 현장에 가서 영혼을 관찰하고, 수많은 가설을 검토하며 이남민 박사는 마침내 사후세계를 밝혀내고 충격에 휩싸인다. -「증명된 사실」 요약 『증명된 사실』(아작 펴냄)은 동명의 단편소설 「증명된 사실」을 포함, 이산화 작가의 11개의 단편소설을 엮은 SF 단편집이다. 과학기술원을 나온 그의 글에는 과학적 언어들이 많이 녹아들어 있다. 터무니없는 이야기를 과학적 언어로 근사하게..

문화 2020. 3. 27. 23:0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64 65 66 67 68 69 70 ··· 115
다음
  • 매체소개 | 규정 | 외부기고




디지스트신문 DNA : DGIST News & Analysis © 디지스트 신문 DNA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