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지면보기] 디지스트 신문 DNA 제 14호 [2023.06.05.]
2023년 6월 5일 발행된 지면신문 PDF 입니다. 아래 기사 제목을 클릭하시면 기사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1면] "이러려고 만든 게 아닌데..." 인턴십 2학점 필수 이수의 모순 외국인 학부생 입학, 학교는 받을 준비가 되었나 *본 기사는 지면에 우선 공개 되었습니다. [2면] "이러려고 만든 게 아닌데..." 인턴십 2학점 필수 이수의 모순 좋은 취지의 인턴십, 좋은 방향으로 살리기 위해서는 학부생과 교수가 답한다, “인공지능기초,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3면] 학부생과 교수가 답한다, “인공지능기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4면] ”32만원으로는 부족하다” 점점 커지는 학생지원경비 인상 요구 [5면] 테크노폴리스를 위협하는 폐기물 공해, 학생들의 관심이 필요한 때 [6면] 테크노폴리스를..
2023.09.12
-
[지면보기] 디지스트 신문 DNA 제 13호 [2022.12.02.]
2022년 6월 10일 발행된 지면신문 PDF 입니다. 아래 기사 제목을 클릭하시면 기사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1면] for’D의 공약 돌아보기... 16개 공약의 현주소는 센서가 가져올 미래, 2022 DGIF 성공적 개최 [2면] for’D의 공약 돌아보기... 16개 공약의 현주소는 DGIST 청렴 주간 운영... 2021년 종합청렴도 평가 '우수' 등급 기념 [3면] [2021 UGRP 우수연구] ‘인공지능을 활용한 나노 입자 마이크로 로봇 2002 노벨화학상 수상자 쿠르트 뷔트리히 교수의 구조생물학사 강연 [4면] 사랑, 결핍, 자존의 관계 – 뮤지컬
2023.09.12
-
[포토] 새로운 구성원, 외국인 학생을 맞이하는 DGIST
지난 28일, 2023년 2학기를 시작함과 동시에 DGIST는 새로운 외국인 학생을 받아들였다. 이와 동시에 국제협력센터는 28일부터 한 주간 2023 Fall International Students Orientation Week를 진행했다. 새로운 외국인 학부생과 대학원생, 교환학생은 E7 글로벌 라운지에서 ▲버디와의 만남 ▲특별 교육 (한국과 한국어의 이해) ▲DGIST 동아리 및 자치단체 소개 ▲한국 문화 체험 (도장에 한국어 이름 새기기) ▲특별 세션 (선배로부터의 조언)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권대현 기자 seromdh@dgist.ac.kr
2023.09.03
-
[포토] RGB 개강공연, 우리 지금 만나
지난 8월 31일, E7 L29에서 그룹사운드 동아리 RGB (이하 RGB)가 개강공연 를 진행했다. 여름방학 동안 공연을 준비한 RGB 부원들은, 가을 학기를 맞이하여 학생들을 음악으로 응원했다. 학부생과 대학원생은 물론 공연 소식을 듣고 찾아온 외국인 교환학생까지 RGB의 밴드 음악의 낭만을 즐긴 밤이었다. 권대현 기자 seromdh@naver.com
2023.09.03
-
DGIST 총동문회 출범, 오는 9월 23일 첫 대면 모임
DGIST 창립 20년 차에 접어든 2023년, 마침내 총동문회가 출범했다. 총동문회는 현재(2023년 8월 24일 기준) 약 370 명의 동문들이 가입을 한 상황이며, 김한준 금오공과대학교 교수(이하 김 회장)가 초대 회장을 맡았다. 동문 간의 소모임을 지원하며 긍정적인 소통의 장을 만든다는 계획으로 출범한 총동문회의 탄생과 운영 배경을 DNA가 취재했다. 총동문회는 본교의 주도로 탄생했다. 자신의 연구실에서 조그마한 동문회를 운영 중이던 김 회장은 총동문회가 계획되고 있다는 연락과 함께 회장 자리에 대한 제안을 학교로부터 받았다. 김 회장은 이를 수락했고, 평소 연락하고 지낸 동문 두 명과 학교가 추천한 인사들과 함께 총동문회 임원진을 구성했다. 시간이 지나고 사회를 이끌어 나가는 DGIST 출신 인..
2023.08.30
-
DGIST 총학생회 포함 12개교 총학생회, 과학기술 분야 R&D 예산 전면 삭감 정책에 대한 성명문 발표
DGIST 총학생회를 비롯한 12개 대학교·대학원 총학생회는 정부의 과학기술 분야 R&D 예산 전면 삭감 정책에 대한 성명문을 발표하였다. 성명문 발표에 참여한 각 학교의 총학생회는 정부출연연구기관 및 이공계 연구 중심대학에 대한 R&D 예산 삭감 재고와, 정책 입안 및 예산안 수립 시 과학자에 대한 정부의 존중을 요청했다. 지난 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산하 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 25곳의 내년도 주요 사업비를 기존 대비 약 25% 삭감했다. R&D 분야의 예산이 삭감된 것은 1991년 이후 33년 만이다. 최종 결정은 국회의 정부 예산안 심의를 거쳐 이루어질 예정이다. DGIST 총학생회와 함께 성명문 발표에 참여한 총학생회는 ▲KAIST 학부 총학생..
2023.08.29
-
[2022 UGRP 우수연구] MMP 선택적 저해 신약의 첫 걸음을 내딛다
2022 UGRP 학술 기사 주제는 ‘질환 표적으로서의 효소 활성 촉진 및 저해 전략을 위한 급속 조효소 결합의 제어 연구’로, 2022 UGRP 우수과제 우수상에 선정되었다. 이창훈 교수의 지도 하에 ▲강은호(`17) ▲김나영(`20) ▲김소혜(`20) ▲손혜림(`20) ▲윤지민(`20) ▲이경희(`20) 학생 6명이 본 연구에 참여했으며, DNA는 해당 연구팀의 ▲강은호 ▲윤지민 ▲손혜림 학생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Q. 팀소개를 부탁한다. 손혜림(이하 손): 우리는 DGIST의 바이오 분야 UGRP 팀 ‘두루딱딱이’이다. 두루두루 딱딱 맞는 신약을 개발하자는 취지에서 지은 순우리말 이름이다. 조원들은 약어로 두딱이라고도 불렀고 교수님은 DRT라는 약칭을 더 선호했다. Q. 팀을 어떻게 구성했는지 궁금..
2023.08.27
-
광학 학술 교류의 장, OPTICA DGIST 2023 썸머 광학 교류회
지난 22일, 해동창의마루 세미나실에서 OPTICA DGIST 2023 썸머 광학 교류회가 진행됐다. 미국 광학회 OPTICA가 지원하는 학술 동아리 OPTICA DGIST가 진행한 이번 행사는, 회원 전원(5명)과 초청 연사 1명이 광학 관련 연구 현황을 발표하고 학술적 의견을 공유하며 진행됐다. 주제는 ▲MMF-DSCA ▲초점 맞추기! ▲빛의 분광, 빛은 답을 알고 있다! ▲눈으로 편광 보기 ▲산소 포화도가 보이는 창문 Pulse Oximetry ▲홍우만델 효과로 본 양자 수수께끼 이상 6개였다. 발표 형식의 행사였지만, 참여자들도 현장에서 여러 주제에 대한 간단한 실험을 진행하며 흥미를 보였다. 발표를 진행하며 참여자들을 위한 Haidinger's brush 실험을 준비한 이태성 학생(`21)은 보..
2023.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