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 전체
  • 사회
  • 문화
  • DGIST 사람들
  • 학술
  • 오피니언
  • 학생토론회
  • 지면보기
  • 포토
  • English
  • 규정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
  • 사회
  • 문화
  • DGIST 사람들
  • 학술
  • 오피니언
  • 학생토론회
  • 지면보기
  • 포토
  • English
  • 규정
  • 분류 전체보기 (878) N
    • 사회 (362)
    • 문화 (135)
    • DGIST 사람들 (88) N
    • 학술 (48)
    • 주간소식 (119)
    • 오피니언 (49) N
    • 지면보기 (20)
    • 포토 (35)
    • English (6)
    • 디지스트신문 DNA 주최 학생토론회 (1)
    • DNA툰 (14)
      • 잡생각 (2)
      • 디지밖세상(완) (2)
      • 허니디지(완) (9)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인권센터를 찾아달라”, DGIST 구성원을 위한 인권센터

    대학가에서의 인권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2020년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이 시행한 전국 대학생 및 대학원생 1,902명의 조사 결과, 인권침해 피해 경험이 있는 학생이 46.4%에 달했다. 2022년에는 대학의 인권센터 설립이 의무화되었을 정도로 그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DNA는 DGIST 인권 의식의 현주소에 대해 알아보고자 취재에 나섰다. DNA는 학생과 교직원을 대상으로 DGIST 구성원의 인권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를 지난달 16일부터 2주간 실시했다. 본 설문에는 ▲학생 125명 ▲교직원 40명 총 165명이 참여했다. || DGIST 구성원의 인권 의식 수준 DGIST 구성원의 전반적인 인권 의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 5점(매우 높음)부터 1점(매우 낮음)까지 점수를 매겼다. ..

    2023.11.14

  • [2023 노벨 화학상] 미세한 작은 점, 양자점이 세상을 바꾸다

    지난 4일 6시 45분, 2023년 노벨 화학상이 양자점을 발견하고, 대량 생산하는 데 공헌한 세 명의 과학자 ▲ Aleksey I. Ekimov(이하 알렉세이 에키모프) ▲ Louis E. Brus(이하 루이스 E.브루스)▲Moungi G. Bawendi (이하 모운지 바웬디) 에게 돌아갔다. 양자점은 1981년 비교적 일찍 발견되었지만, 원하는 크기로 정밀하게 합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관련 연구 진행이 더디었다. 하지만 양자점 대량 합성법이 정교화되며,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의료 ▲태양전지 등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인정받아 활발하게 연구되는 분야이다. 양자점이란 크기가 10nm 미만인 반도체 결정체를 일컫는다. 14족 반도체 물질은 여러 입자가 상호작용하여 오비탈 겹침에 의해 원자가띠와 전도띠를 형..

    2023.11.12

  • [2023 노벨 생리의학상] RNA 염기 변형과 면역반응, mRNA 백신 개발의 토대

    지난 10월 2일, 생화학자 Katalin Karikó (이하 카탈린 칼리코)와 면역학자 Drew Weissman (이하 드류 와이스먼)이 2023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두 연구자의 RNA 염기 변형 연구가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의 과학적 토대가 된 공로를 인정받은 결과였다. mRNA 기반 백신은 다른 종류의 백신인 ▲사백신 ▲생백신 ▲바이러스 벡터 백신과 달리 낮은 비용으로 빠르게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번 코로나-19 백신 또한 mRNA 기반 백신으로 짧은 시간에 개발될 수 있었다. mRNA 백신 개발 시도는 1980년부터 있었다. 당시에 세포 배양 없이 mRNA를 합성할 수 있는 시험관 전사(in vitro transcription) 기술이 개발되어 이론적으로..

    2023.11.11

  • [포토] 제8회 달빛제 속 소중한 순간들

    지난 3, 4일 이틀간 DGIST S1 대운동장에서 제8회 달빛제가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는 ▲동아리 부스 ▲동아리 공연 ▲보물찾기 ▲장기자랑 ▲초청 공연으로 구성되었다. 첫날에는 각종 공연 동아리의 공연(▲RGB ▲아마루 ▲화양연화 ▲VOICE FISHING ▲B.G.M Fanatix ▲D.ONE)이 이루어졌으며, 둘째 날에는 보물찾기와 장기자랑, 외부 연예인(▲백아연 ▲Kik5o ▲이영지)의 초청 공연이 이루어졌다. 제8회 달빛제 속 소중한 순간을 DNA가 담았다. 권대현 기자 seromdh@dgist.ac.kr

    2023.11.10

  • 판데믹 이후 운영에 대한 생자회의 계획, 부원 지정 1인의 선호 호실 배정 정책 폐지 추진 중

    DGIST 생활관학생자치회(이하 생자회)는 학생생활관 내의 활력 유지를 책임지는 학내 자치단체이다. 학생들의 생활 개선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와 동시에 ▲쓰레기 정리 ▲호실 배정 ▲사랑방 관리 등의 문제로 학생 커뮤니티에서 많은 비판도 받았다. 그들은 어떤 일을 하고 있으며 속사정은 또 어떠할지, DNA는 생자회의 회장, 김나혜 학생(`22) (이하 김 회장)을 만났다. 생자회의 구성 생자회는 앞으로의 활동을 계획하는 ▲기획부, 생활관생과의 소통을 담당하는 ▲사무교류부, 홍보 업무를 총괄하는 ▲홍보부로 이루어져 있다. 각 부서당 6명 정도의 부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질서 유지와 공용공간 관리, 학생들을 위한 활동 기획이라는 목표를 가진다. 2023년, 지금까지의 활동 생활관 내 시설을..

    2023.11.10

  • STadium의 역사를 찾아서... (2017년, STadium이 시작되기까지 그 뒷이야기)

    오는 11일, 5대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연합 체육 교류전 STadium이 UNIST에서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GIST ▲DGIST ▲UNIST ▲POSTECH ▲KAIST의 학생이 참여해 스포츠 경기를 통하여 경쟁하며, KENTECH의 구성원도 차후 Stadium에 참여하기 위한 관람 목적으로 참석할 예정이다. STadium 은 2017년 처음 시작됐다. DNA는 2023 STadium의 시작에 앞서 이 행사가 어떻게 출범했는지, 그 과정에 대해 취재했다. 5대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연합 체육 교류전에 대한 논의는 2016년부터 있었다. 그 이전에는 각 학교 운동 동아리 간의 소규모 운동 경기는 있었지만, 모든 학부생이 함께하는 대규모 교류전은 존재하지 않았다. 당시 DGIST 총학생회는 학생 사회 속 문..

    2023.11.09

  • [칼럼] 뮤지컬 속 ‘거울’ 이야기

    *본 기사는 뮤지컬 , , , 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본 기사는 뮤지컬 배우 임병근의 석사학위논문 (2021)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음을 밝힙니다. 나는 거울 없는 실내에 있다. 거울 속의 나는 역시 외출 중이다. 나는 지금 거울 속의 나를 무서워하며 떨고 있다. 거울 속의 나는 어디 가서 나를 어떻게 하려는 음모를 하는 중일까. (중략) 나는 거울 속에 있는 실내로 몰래 들어간다. 나를 거울에서 해방하려고. 그러나 거울 속의 나는 침울한 얼굴로 동시에 꼭 들어온다. 거울 속의 나는 내게 미안한 뜻을 전한다. 내가 그 때문에 령어되어 있드키 그도 나 때문에 령어되어 떨고 있다. - 이상, 중 일부 뮤지컬 를 보았다. 이 작품에는 세 명의 인물이 등장한다. 시를 쓰는 ‘초’, 바다를 그리는 ‘해’..

    2023.11.05

  • R&D 예산 삭감, 이공계 학생들의 주목이 필요한 때

    매년 증가해 왔던 R&D 예산이 33년만에 삭감되었다. 정부가 편성한 내년도 R&D 예산은 25조 9,000억 원으로, 올해 예산인 31조 778억 원보다 16.7%가 줄어든 금액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는 비효율적이고 관행화된 사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통한 예산 효율화 과정에서 이루어진 감축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과학계가 술렁인 R&D 예산 삭감 매년 증가해 왔던 R&D 예산이 33년만에 삭감되었다. 정부가 편성한 내년도 R&D 예산은 25조 9,000억 원으로, 올해 예산인 31조 778억 원보다 16.7%가 줄어든 금액이다. R&D란 Research and Development의 약자로, 우리말로 연구개발이라 한다. 정부 R&D 예산은 정부에서 새로운 지식축적과 기술혁신을 촉진하는 데 지..

    2023.11.02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인권센터를 찾아달라”, DGIST 구성원을 위한 인권센터

대학가에서의 인권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2020년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이 시행한 전국 대학생 및 대학원생 1,902명의 조사 결과, 인권침해 피해 경험이 있는 학생이 46.4%에 달했다. 2022년에는 대학의 인권센터 설립이 의무화되었을 정도로 그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DNA는 DGIST 인권 의식의 현주소에 대해 알아보고자 취재에 나섰다. DNA는 학생과 교직원을 대상으로 DGIST 구성원의 인권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를 지난달 16일부터 2주간 실시했다. 본 설문에는 ▲학생 125명 ▲교직원 40명 총 165명이 참여했다. || DGIST 구성원의 인권 의식 수준 DGIST 구성원의 전반적인 인권 의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 5점(매우 높음)부터 1점(매우 낮음)까지 점수를 매겼다. ..

사회 2023. 11. 14. 12:41

[2023 노벨 화학상] 미세한 작은 점, 양자점이 세상을 바꾸다

지난 4일 6시 45분, 2023년 노벨 화학상이 양자점을 발견하고, 대량 생산하는 데 공헌한 세 명의 과학자 ▲ Aleksey I. Ekimov(이하 알렉세이 에키모프) ▲ Louis E. Brus(이하 루이스 E.브루스)▲Moungi G. Bawendi (이하 모운지 바웬디) 에게 돌아갔다. 양자점은 1981년 비교적 일찍 발견되었지만, 원하는 크기로 정밀하게 합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관련 연구 진행이 더디었다. 하지만 양자점 대량 합성법이 정교화되며,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의료 ▲태양전지 등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인정받아 활발하게 연구되는 분야이다. 양자점이란 크기가 10nm 미만인 반도체 결정체를 일컫는다. 14족 반도체 물질은 여러 입자가 상호작용하여 오비탈 겹침에 의해 원자가띠와 전도띠를 형..

학술 2023. 11. 12. 23:09

[2023 노벨 생리의학상] RNA 염기 변형과 면역반응, mRNA 백신 개발의 토대

지난 10월 2일, 생화학자 Katalin Karikó (이하 카탈린 칼리코)와 면역학자 Drew Weissman (이하 드류 와이스먼)이 2023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두 연구자의 RNA 염기 변형 연구가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의 과학적 토대가 된 공로를 인정받은 결과였다. mRNA 기반 백신은 다른 종류의 백신인 ▲사백신 ▲생백신 ▲바이러스 벡터 백신과 달리 낮은 비용으로 빠르게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번 코로나-19 백신 또한 mRNA 기반 백신으로 짧은 시간에 개발될 수 있었다. mRNA 백신 개발 시도는 1980년부터 있었다. 당시에 세포 배양 없이 mRNA를 합성할 수 있는 시험관 전사(in vitro transcription) 기술이 개발되어 이론적으로..

학술 2023. 11. 11. 23:54

[포토] 제8회 달빛제 속 소중한 순간들

지난 3, 4일 이틀간 DGIST S1 대운동장에서 제8회 달빛제가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는 ▲동아리 부스 ▲동아리 공연 ▲보물찾기 ▲장기자랑 ▲초청 공연으로 구성되었다. 첫날에는 각종 공연 동아리의 공연(▲RGB ▲아마루 ▲화양연화 ▲VOICE FISHING ▲B.G.M Fanatix ▲D.ONE)이 이루어졌으며, 둘째 날에는 보물찾기와 장기자랑, 외부 연예인(▲백아연 ▲Kik5o ▲이영지)의 초청 공연이 이루어졌다. 제8회 달빛제 속 소중한 순간을 DNA가 담았다. 권대현 기자 seromdh@dgist.ac.kr

포토 2023. 11. 10. 22:04

판데믹 이후 운영에 대한 생자회의 계획, 부원 지정 1인의 선호 호실 배정 정책 폐지 추진 중

DGIST 생활관학생자치회(이하 생자회)는 학생생활관 내의 활력 유지를 책임지는 학내 자치단체이다. 학생들의 생활 개선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와 동시에 ▲쓰레기 정리 ▲호실 배정 ▲사랑방 관리 등의 문제로 학생 커뮤니티에서 많은 비판도 받았다. 그들은 어떤 일을 하고 있으며 속사정은 또 어떠할지, DNA는 생자회의 회장, 김나혜 학생(`22) (이하 김 회장)을 만났다. 생자회의 구성 생자회는 앞으로의 활동을 계획하는 ▲기획부, 생활관생과의 소통을 담당하는 ▲사무교류부, 홍보 업무를 총괄하는 ▲홍보부로 이루어져 있다. 각 부서당 6명 정도의 부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질서 유지와 공용공간 관리, 학생들을 위한 활동 기획이라는 목표를 가진다. 2023년, 지금까지의 활동 생활관 내 시설을..

사회 2023. 11. 10. 21:04

STadium의 역사를 찾아서... (2017년, STadium이 시작되기까지 그 뒷이야기)

오는 11일, 5대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연합 체육 교류전 STadium이 UNIST에서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GIST ▲DGIST ▲UNIST ▲POSTECH ▲KAIST의 학생이 참여해 스포츠 경기를 통하여 경쟁하며, KENTECH의 구성원도 차후 Stadium에 참여하기 위한 관람 목적으로 참석할 예정이다. STadium 은 2017년 처음 시작됐다. DNA는 2023 STadium의 시작에 앞서 이 행사가 어떻게 출범했는지, 그 과정에 대해 취재했다. 5대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연합 체육 교류전에 대한 논의는 2016년부터 있었다. 그 이전에는 각 학교 운동 동아리 간의 소규모 운동 경기는 있었지만, 모든 학부생이 함께하는 대규모 교류전은 존재하지 않았다. 당시 DGIST 총학생회는 학생 사회 속 문..

문화 2023. 11. 9. 16:59

[칼럼] 뮤지컬 속 ‘거울’ 이야기

*본 기사는 뮤지컬 , , , 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본 기사는 뮤지컬 배우 임병근의 석사학위논문 (2021)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음을 밝힙니다. 나는 거울 없는 실내에 있다. 거울 속의 나는 역시 외출 중이다. 나는 지금 거울 속의 나를 무서워하며 떨고 있다. 거울 속의 나는 어디 가서 나를 어떻게 하려는 음모를 하는 중일까. (중략) 나는 거울 속에 있는 실내로 몰래 들어간다. 나를 거울에서 해방하려고. 그러나 거울 속의 나는 침울한 얼굴로 동시에 꼭 들어온다. 거울 속의 나는 내게 미안한 뜻을 전한다. 내가 그 때문에 령어되어 있드키 그도 나 때문에 령어되어 떨고 있다. - 이상, 중 일부 뮤지컬 를 보았다. 이 작품에는 세 명의 인물이 등장한다. 시를 쓰는 ‘초’, 바다를 그리는 ‘해’..

문화 2023. 11. 5. 20:15

R&D 예산 삭감, 이공계 학생들의 주목이 필요한 때

매년 증가해 왔던 R&D 예산이 33년만에 삭감되었다. 정부가 편성한 내년도 R&D 예산은 25조 9,000억 원으로, 올해 예산인 31조 778억 원보다 16.7%가 줄어든 금액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는 비효율적이고 관행화된 사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통한 예산 효율화 과정에서 이루어진 감축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과학계가 술렁인 R&D 예산 삭감 매년 증가해 왔던 R&D 예산이 33년만에 삭감되었다. 정부가 편성한 내년도 R&D 예산은 25조 9,000억 원으로, 올해 예산인 31조 778억 원보다 16.7%가 줄어든 금액이다. R&D란 Research and Development의 약자로, 우리말로 연구개발이라 한다. 정부 R&D 예산은 정부에서 새로운 지식축적과 기술혁신을 촉진하는 데 지..

사회 2023. 11. 2. 19:3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110
다음
  • 매체소개 | 규정 | 외부기고




디지스트신문 DNA : DGIST News & Analysis © 디지스트 신문 DNA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