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DGISTian의 경험 ⑤] '댄스 이스 마이 라이프!' BGM의 뮤즈 김선아 학생('16)
수많은 DGISTian의 꿈이 다채로운 만큼 DGISTian의 취미 역시 다양하다. 이번에는 춤을 좋아하는 김선아 학생(‘16)을 만나보았다. 이공계특성화대학과 스트릿 댄스. 다소 접점이 없어보이는 두 단어가 어떻게 만났는지, 그 이야기를 들어보자. Q. 간단하게 자기소개 부탁드린다. - 16학번 김선아이다. 스트릿댄스 동아리 BGM에서 안무와 디렉팅을 맡고 있다. Q. 역시 달빛제 공연을 묻지 않을 수 없다. 할로윈 컨셉, 할리퀸 분장은 어떻게 구상했나? - DGIST에는 세 개의 댄스동아리가 있기 때문에 각자의 개성을 잘 살려야 관객들이 더 재미있게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BGM만의 차별점을 두고 싶었다. 지난 공연의 댄스컬처럼 그동안은 스토리가 있는 무대를 추구해왔는데, 관객들의 반..
2017.10.26
-
'갑질하는 학교' 학생 인권은 어디에?
#1. 지난 여름방학, 학부생 A씨는 대학원 인턴십 프로그램(이하 '대학원 인턴')에 지원하여 인턴으로 채용되었다는 연락을 받았다. 대학원 인턴은 7월 3일부터 8월 11일까지 6주에 체재비 99만 원 지급으로 공지되었으나, 6월 15일부터 출근해야 했다. 8월 초가 되어서야 교수가 대학원 인턴이 아닌 단기 근로 학생으로 채용하였기 때문에 계약 기간이 8월 31일까지라고 안내받았다. A씨는 결국 사표를 내 8월 11일까지만 근로하였다. 정상적인 하계 인턴보다 더 오래 일을 하고도, 세금을 제하고 월 54만 원만 받았다.#2. 대학원생 B씨는 지도교수 C씨의 랩에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애당초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만 연구하면 된다고 들었으나, 실제로는 주 6~7일에 80시간가량 연구해야 했다. ..
2017.10.25
-
선배 과학자들이 우리에게 보여준 과학
박기영 후보자와 박성진 후보자의 잇따른 사퇴 후 한 달 …이쯤에서 되돌아보는 과학의 의미 한달 전, 대한민국 과학기술계에 큰 폭풍이 휘몰아쳤다. 이 폭풍은 하마터면 과학기술계에 적잖은 충격을 줄 뻔 했지만, 과학자들을 중심으로 아주 세련되고 슬기롭게 해결되었다. 청와대의 과학기술혁신본부장 후보자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임명에 관한 이야기이다. 공교롭게도 두 건 다 과학자들의 시선에서 적절치 못한 인사였고, 그들이 생각하는 ‘과학’에서 크게 벗어난 결정이었다. 일각에서는 ‘청와대의 과학에 대한 인식의 부재가 우려된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정부에 대한 비판을 서슴지 않았다. 과학기술계 역시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가 컸기 때문에 그 아쉬움은 더 컸을 것으로 보인다.많은 과학자가 건의, 칼럼 기고, 서명 운..
2017.10.22
-
Living in DGIST as an international student, interview with Igor Ferreira
Click to read in Korean. 한국어로 읽으려면 클릭하세요. 1.[Quick introduction] Can you introduce yourself? My name is Igor Ferreira and I’m from Brazil. I’m currently enrolled in Master’s course in Robotics department. Among various labs, I’m in rehabilitation engineering lab. This is my third semester in DGIST. Before coming to DGIST, I did exchange program from 2014 to 2015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2017.10.21
-
외국인 대학원생, Igor Ferreira의 DGIST에서 살아남기
영어로 읽으려면 클릭하세요.Click to read in English 기자의 한마디이 인터뷰는 DGIST에서 살아가는 외국인 학생들이 겪고 있는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이를 공론화하여 DGIST의 구성원들과 외국인 학생들 간의 이해와 교류를 증진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Q. 자기소개를 부탁한다.- 브라질에서 태어난 Igor Ferreira이다. 현재 로봇공학 전공에서 석사 과정을 밟고 있다. 특히 재활공학(rehabilitation engineering) 연구실에서 일하고 있다. 이번 학기가 DGIST에서 세 번째 학기다. 이전에는 서울대학교 교환학생으로 1년 정도 지낸 적이 있다. Q. 학교 음식이 입맛에 맞는지 묻고 싶다. 학생식당에서 음식을 먹지 않는다면 어떻게 끼니를 해결하나?- 처음 학교에서..
2017.10.21
-
디지생의 여름방학: 10. 대학원을 향해 두 발짝, 정보승
은 자신만의 방법으로 여름방학을 지낸 디지생들을 인터뷰했다. DURA, 조정, FGLP, CUOP, 인턴, 자치회, 대외활동, 여행, 아르바이트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것이며, 서면인터뷰로 진행된다. 열 번째 타자는, 여름방학 기간동안 DGIST 하계인턴을 한 정보승(’14)학생이다. Q. 자기소개한다면?- “안녕하세요, 정보통신공학 전공에서 학석박 학위 연계과정 중에 있는 14학번 정보승입니다.” Q. 2017학년도 DGIST 대학원 하계 인턴 프로그램에 참여했다고 들었다. 어느 랩에서 어떤 것을 배웠는지 간단하게 소개한다면?- 곽수하 교수의 Vision & Learning 랩에서 인턴 활동을 했다. 말 그대로 컴퓨터 비전과 머신러닝을 연구하는 랩이다. 제 경우는, 봄 학기부터 석사 형이 맡은 연구주제..
2017.10.20
-
디지생의 여름방학: 09. 베트남과 함께한 봉사활동, 박준우
어느새 추석 연휴가 지났지만, DGIST 학부생의 여름방학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그만큼 많은 학생이 이번 여름방학을 알차게 보냈다.은 자신만의 방법으로 여름방학을 지낸 디지생들을 인터뷰했다. DURA, 조정, FGLP, CUOP, 인턴, 자치회, 대외활동, 여행, 아르바이트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것이며, 서면인터뷰로 진행된다. DGIST에서는 ICT 교육과 문화교류 활동을 위해 월드프렌즈 ICT 봉사단(이하 IT봉사단)을 매년 여름에 진행한다. 아홉 번째 타자는, 베트남에서 IT봉사단 활동을 한 박준우(’16)학생이다. Q.자기소개를 부탁드린다.- “안녕하세요. 그림동아리 그래피디아(Graphedia) 부장 16학번 박준우라고 합니다.” Q.DGIST 프로그램 중 하나인 IT봉사단 활동으로 베트남에 ..
2017.10.15
-
Johns Hopkins University에서 살아남기 #02 - 볼티모어 내 관광 및 주변 도시 관광
언제나 맑고 푸른 하늘을 간직한 볼티모어 거리 구경은 정말 흥미로웠다. 특히 Landscape Photography 수업 덕분에 볼티모어 구석구석을 걸으며 천천히 시내를 구경했다. 볼티모어 내 교통 볼티모어를 관광할 때는 홉킨스에서 제공하는 셔틀버스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학교 셔틀버스는 Charles Commons 건물 1층 Barnes&Noble 앞에서 타면 된다. 자세한 노선과 도착예정시간 조회는 TransLoc Rider 어플리케이션을 깔면 된다.볼티모어 시에서 제공하는 무료 순환 버스인 Purple Line을 이용해도 좋다. 다만 무료라서 차내환경은 홉킨스 셔틀만큼 좋지는 않다. 볼티모어 시내버스 도착예정시간과 노선도는 Nextbus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된다. 새벽이나 밤늦은 시간에는 우버와 ..
2017.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