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 전체
  • 캠퍼스
  • 사회
  • 문화
  • DGIST 사람들
  • 학술
  • 오피니언
  • 학생토론회
  • 지면보기
  • 포토
  • English
  • 규정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
  • 캠퍼스
  • 사회
  • 문화
  • DGIST 사람들
  • 학술
  • 오피니언
  • 학생토론회
  • 지면보기
  • 포토
  • English
  • 규정
  • 분류 전체보기 (920) N
    • 캠퍼스 (308)
    • 사회 (62)
    • 문화 (148) N
    • DGIST 사람들 (95)
    • 학술 (48)
    • 주간소식 (119)
    • 오피니언 (59) N
    • 지면보기 (21)
    • 포토 (37)
    • English (6)
    • 디지스트신문 DNA 주최 학생토론회 (1)
    • DNA툰 (14)
      • 잡생각 (2)
      • 디지밖세상(완) (2)
      • 허니디지(완) (9)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디지생의 겨울방학] AI 연구를 체험하다. UNIST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인턴 김민주('18)

    2020년 새해 겨울부터 DGIST 학생들의 열정은 뜨겁게 불타고 있다. 학생들은 각자 관심분야를 탐구하고 경험을 축적하기 위해 다양한 도전을 한다. [디지생의 여름방학] 번외편, [디지생의 겨울방학]에서는 이번 겨울동안 색다른 경험을 한 학생들의 사례를 소개한다. Q1.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한다. - 안녕하세요, DGIST 기초학부 3학년에 재학 중인 김민주입니다. 컴퓨터 공학에 관심이 많고, 그 중에서도 AI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Q2. 어떤 연구실에서 인턴 활동을 하였는가. - UNIST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의 김광인 교수님 연구실에서 인턴 활동을 했다. 컴퓨터 비전 분야를 중점으로 연구하시는 교수님이다. Q3. 해당 연구실에 지원하게 된 계기가 있는가. - 컴퓨터공학 분야를 알고..

    2020.03.30

  • [DGIST, 졸업생을 만나다] DGIST 학부생에서 행정원으로, 최윤지(’15) 동문을 만나다

    지난 2월, DGIST E1 505호에 위치한 DGIST 입학팀에서 갓 졸업한 최윤지 동문을 만났다. 지난 1월부터 DGIST 입학팀에 정규직 행정원으로 발령받은 그는, DGIST에서 학부생활을 보낸 까닭인지 사무실에 앉아있는 자리가 익숙해 보였다. 지난 17년 8월, 제주도 게스트하우스 아르바이트로 여름방학을 보내기도 했던 그의 ‘디지생의 여름방학’ 서면인터뷰 기사(https://dgistdna.com/129)를 수정하였던 본 기자는 이번 인터뷰가 더욱더 새로웠다. Q. 자기소개를 간단히 한다면? - DGIST 기초학부 15학번이고, 올해 2월 학위수여를 앞두고 있다. 운이 좋게도 1월에 DGIST 행정직으로 입사해서 현재 입학팀에서 일하고 있다. Q. 인터뷰를 하는 지금 기분이 어떤가? - 새롭다(웃..

    2020.03.28

  • 처음 시도되는 온라인 강의, 학생들은 잘 듣고 있을까

    DGIST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3월 9일부터 온라인 강의를 시행 중이다. 전격적인 온라인 강의는 처음인 만큼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어떤 점을 보완하고 개선해야 할지 알아보기 위해 기초학부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조사는 3월 19일부터 3월 23일까지 5일간 구글 설문 폼을 이용하여 이뤄졌다. 구글 설문 폼 링크는 페이스북 학부생 페이지, DGIST Web Mail로 배포했다. 응답자 총 221명 중 중복 2명, 학번 기재오류 1명은 결과에서 제외했다. (신뢰수준 90%, 표본오차 ±4.8%) 20%의 학생은 제대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다 공부할 환경이 충분한지 알아보기 위한 문항에서, 과제 하면서 친구에게 물어보기 힘들다는 학생은 136명으로 전체..

    2020.03.28

  • [DNA&책] 주머니 속 한국 SF ① : 이산화 『증명된 사실』

    영혼이 존재한다는 것은 증명된 사실이다. 남은 과제는 사후세계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 물리학을 전공한 이남민 박사를 받아준 곳은 산속의 수상한 연구소뿐이었고, 그 연구소에서 박사에게 준 과제가 바로 사후세계를 물리학적으로 증명하는 것이었다. 연구소는 이남민 박사에게 영혼을 보는 소녀를 동료로 붙여주고 각종 고가의 측정 장비를 제공한다. 현장에 가서 영혼을 관찰하고, 수많은 가설을 검토하며 이남민 박사는 마침내 사후세계를 밝혀내고 충격에 휩싸인다. -「증명된 사실」 요약 『증명된 사실』(아작 펴냄)은 동명의 단편소설 「증명된 사실」을 포함, 이산화 작가의 11개의 단편소설을 엮은 SF 단편집이다. 과학기술원을 나온 그의 글에는 과학적 언어들이 많이 녹아들어 있다. 터무니없는 이야기를 과학적 언어로 근사하게..

    2020.03.27

  • [DNA&책] 아름다움의 신화, 무엇이 아름다움을 강요하는가

    아름다울 필요가 없는 삶이기에 모두가 아름다운 삶 여성은 언제나 외적으로 아름답기를 강요받는다. 외적으로 아름답지 않은 여성은 여성으로서의 가치가 없다고 그들을 폄하하고 끌어내린다. 지하철역과 버스 정류장에 붙은 수많은 성형외과와 피부과 광고, SNS에 떠도는 셀 수 없는 화장품, 미용용품 광고들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에서는 아름다운 여성들을 조명하고, 아름답지 않은 여성을 조롱하고 배제하면서 아름다움의 이미지와 그 신화를 더욱 공고히 한다. 사회는 ‘더 아름다워져야만 나의 가치가 더 높아지고, 이 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다’고 주입한다. 반페미니스트들은 페미니즘을 지지하는 여성들을 자신의 사회에서 배제하기 위해 그들의 미추를 공격한다. 2019년의 대한민국에서 찾아볼 수 있는 ‘아름다움’에 ..

    2020.01.10

  • [꼰대일기] 모니터 뒤에 사람 있어요

    기획의도: 반박할 수 없는 고학번 꼰대 기자가 DNA 기자 생활을 하면서 느꼈던 소회를 칼럼으로 풀어냅니다. 어쩔 수 없는 잔소리가 될 확률이 높습니다. DNA 기자들은 매주 편집회의를 통해 기사 거리나 기사 진행 과정에 대해 공유한다. 한 학기가 14주이니, 거의 3개월이 넘는 시간을 기사 관련된 생각을 하며 살게 된다. 그런 기자들에게도 학기 중에 주어지는 공식 휴가기간이 있다. 바로 시험기간이다. 시험 주와 그 전 주를 포함해서 약 2주는 기자들의 공식적인 휴가다. 물론, 신문이라는 매체 특성상 기자들이 꾸준하게 기사를 쓰면 좋겠지만, 원고료도 없이 열정 하나로 일하는 기자들에게 성적까지 헌납하라는 건 양심이 없는 사람라도 한 번은 뜨끔할 일이다. 내가 편집장을 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인수인계를 ..

    2020.01.10

  • 조류의 유리창충돌, 인간의 역할

    얼마 전 생태학 동아리 잡다에서 조류의 유리창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과학기술교에 시트지 부착 작업을 하였다. 조류의 유리창 충돌은 무엇인지 기초학부 이상임 교수, 생태학 동아리 잡다의 김해성('18), 김건석('16) 학생과 자세히 살펴보았다. Q1. 새들이 유리창에 충돌하는 이유와 이것이 초래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이상임 교수) 새들이 유리창에 충돌하는 것은 특정한 각도에서 빛이 반사되면 하늘처럼 보이거나 유리창이 투명해서 안보이기 때문입니다. 반사되면 하늘이라고 생각하고, 투명해서 안보이면 지나갈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것이죠. 유리창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비행속도를 줄이지 않아 부딪히는 순간 어마어마한 충격을 받게 됩니다. 이에 목뼈가 부러지거나 두개골 손상이 발생하는 등 치명적인 손상을 입습..

    2020.01.10

  • 학생들과 함께 일궈낸 융복합 연구 성과와 그 뒷이야기

    지난 5월 10일, 기초학부의 이창훈 교수를 만나 MAO-A 연구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했다. 앞선 기사에서 분자와 생명현상 실험에서 진행한 ‘너 자신을 알라’ 프로젝트가 갖는 학술적 의의를 분석하였다면 이번 기사에서는 이 연구에 얽힌 이야기들을 소개해보고자 한다. 개개인에게는 실험 수업의 일부에 불과했던 프로젝트이지만, 각자의 결과가 모인 과정과 결론은 매우 뜻 깊다. 모든 학부생들이 이 이야기를 들을 권리가 있다고 생각하며, 더 많은 학부생들에게 이 이야기가 전달되기를 바란다. 다음은 기자와 이창훈 교수와의 문답이다. Q. ‘너 자신을 알라’ 연구 프로젝트를 설계했던 과정이 궁금하다. - 1기 학생들, 14학번 학생들의 경우에는 이석규 교수의 아이디어로 ‘CSI가 되어 범인을 잡아보자’ 프로젝트를 통해..

    2020.01.10

[디지생의 겨울방학] AI 연구를 체험하다. UNIST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인턴 김민주('18)

2020년 새해 겨울부터 DGIST 학생들의 열정은 뜨겁게 불타고 있다. 학생들은 각자 관심분야를 탐구하고 경험을 축적하기 위해 다양한 도전을 한다. [디지생의 여름방학] 번외편, [디지생의 겨울방학]에서는 이번 겨울동안 색다른 경험을 한 학생들의 사례를 소개한다. Q1.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한다. - 안녕하세요, DGIST 기초학부 3학년에 재학 중인 김민주입니다. 컴퓨터 공학에 관심이 많고, 그 중에서도 AI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Q2. 어떤 연구실에서 인턴 활동을 하였는가. - UNIST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의 김광인 교수님 연구실에서 인턴 활동을 했다. 컴퓨터 비전 분야를 중점으로 연구하시는 교수님이다. Q3. 해당 연구실에 지원하게 된 계기가 있는가. - 컴퓨터공학 분야를 알고..

DGIST 사람들 2020. 3. 30. 14:29

[DGIST, 졸업생을 만나다] DGIST 학부생에서 행정원으로, 최윤지(’15) 동문을 만나다

지난 2월, DGIST E1 505호에 위치한 DGIST 입학팀에서 갓 졸업한 최윤지 동문을 만났다. 지난 1월부터 DGIST 입학팀에 정규직 행정원으로 발령받은 그는, DGIST에서 학부생활을 보낸 까닭인지 사무실에 앉아있는 자리가 익숙해 보였다. 지난 17년 8월, 제주도 게스트하우스 아르바이트로 여름방학을 보내기도 했던 그의 ‘디지생의 여름방학’ 서면인터뷰 기사(https://dgistdna.com/129)를 수정하였던 본 기자는 이번 인터뷰가 더욱더 새로웠다. Q. 자기소개를 간단히 한다면? - DGIST 기초학부 15학번이고, 올해 2월 학위수여를 앞두고 있다. 운이 좋게도 1월에 DGIST 행정직으로 입사해서 현재 입학팀에서 일하고 있다. Q. 인터뷰를 하는 지금 기분이 어떤가? - 새롭다(웃..

DGIST 사람들 2020. 3. 28. 16:00

처음 시도되는 온라인 강의, 학생들은 잘 듣고 있을까

DGIST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3월 9일부터 온라인 강의를 시행 중이다. 전격적인 온라인 강의는 처음인 만큼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어떤 점을 보완하고 개선해야 할지 알아보기 위해 기초학부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조사는 3월 19일부터 3월 23일까지 5일간 구글 설문 폼을 이용하여 이뤄졌다. 구글 설문 폼 링크는 페이스북 학부생 페이지, DGIST Web Mail로 배포했다. 응답자 총 221명 중 중복 2명, 학번 기재오류 1명은 결과에서 제외했다. (신뢰수준 90%, 표본오차 ±4.8%) 20%의 학생은 제대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다 공부할 환경이 충분한지 알아보기 위한 문항에서, 과제 하면서 친구에게 물어보기 힘들다는 학생은 136명으로 전체..

캠퍼스 2020. 3. 28. 13:19

[DNA&책] 주머니 속 한국 SF ① : 이산화 『증명된 사실』

영혼이 존재한다는 것은 증명된 사실이다. 남은 과제는 사후세계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 물리학을 전공한 이남민 박사를 받아준 곳은 산속의 수상한 연구소뿐이었고, 그 연구소에서 박사에게 준 과제가 바로 사후세계를 물리학적으로 증명하는 것이었다. 연구소는 이남민 박사에게 영혼을 보는 소녀를 동료로 붙여주고 각종 고가의 측정 장비를 제공한다. 현장에 가서 영혼을 관찰하고, 수많은 가설을 검토하며 이남민 박사는 마침내 사후세계를 밝혀내고 충격에 휩싸인다. -「증명된 사실」 요약 『증명된 사실』(아작 펴냄)은 동명의 단편소설 「증명된 사실」을 포함, 이산화 작가의 11개의 단편소설을 엮은 SF 단편집이다. 과학기술원을 나온 그의 글에는 과학적 언어들이 많이 녹아들어 있다. 터무니없는 이야기를 과학적 언어로 근사하게..

문화 2020. 3. 27. 23:08

[DNA&책] 아름다움의 신화, 무엇이 아름다움을 강요하는가

아름다울 필요가 없는 삶이기에 모두가 아름다운 삶 여성은 언제나 외적으로 아름답기를 강요받는다. 외적으로 아름답지 않은 여성은 여성으로서의 가치가 없다고 그들을 폄하하고 끌어내린다. 지하철역과 버스 정류장에 붙은 수많은 성형외과와 피부과 광고, SNS에 떠도는 셀 수 없는 화장품, 미용용품 광고들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에서는 아름다운 여성들을 조명하고, 아름답지 않은 여성을 조롱하고 배제하면서 아름다움의 이미지와 그 신화를 더욱 공고히 한다. 사회는 ‘더 아름다워져야만 나의 가치가 더 높아지고, 이 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다’고 주입한다. 반페미니스트들은 페미니즘을 지지하는 여성들을 자신의 사회에서 배제하기 위해 그들의 미추를 공격한다. 2019년의 대한민국에서 찾아볼 수 있는 ‘아름다움’에 ..

문화 2020. 1. 10. 01:20

[꼰대일기] 모니터 뒤에 사람 있어요

기획의도: 반박할 수 없는 고학번 꼰대 기자가 DNA 기자 생활을 하면서 느꼈던 소회를 칼럼으로 풀어냅니다. 어쩔 수 없는 잔소리가 될 확률이 높습니다. DNA 기자들은 매주 편집회의를 통해 기사 거리나 기사 진행 과정에 대해 공유한다. 한 학기가 14주이니, 거의 3개월이 넘는 시간을 기사 관련된 생각을 하며 살게 된다. 그런 기자들에게도 학기 중에 주어지는 공식 휴가기간이 있다. 바로 시험기간이다. 시험 주와 그 전 주를 포함해서 약 2주는 기자들의 공식적인 휴가다. 물론, 신문이라는 매체 특성상 기자들이 꾸준하게 기사를 쓰면 좋겠지만, 원고료도 없이 열정 하나로 일하는 기자들에게 성적까지 헌납하라는 건 양심이 없는 사람라도 한 번은 뜨끔할 일이다. 내가 편집장을 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인수인계를 ..

오피니언 2020. 1. 10. 01:18

조류의 유리창충돌, 인간의 역할

얼마 전 생태학 동아리 잡다에서 조류의 유리창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과학기술교에 시트지 부착 작업을 하였다. 조류의 유리창 충돌은 무엇인지 기초학부 이상임 교수, 생태학 동아리 잡다의 김해성('18), 김건석('16) 학생과 자세히 살펴보았다. Q1. 새들이 유리창에 충돌하는 이유와 이것이 초래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이상임 교수) 새들이 유리창에 충돌하는 것은 특정한 각도에서 빛이 반사되면 하늘처럼 보이거나 유리창이 투명해서 안보이기 때문입니다. 반사되면 하늘이라고 생각하고, 투명해서 안보이면 지나갈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것이죠. 유리창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비행속도를 줄이지 않아 부딪히는 순간 어마어마한 충격을 받게 됩니다. 이에 목뼈가 부러지거나 두개골 손상이 발생하는 등 치명적인 손상을 입습..

학술 2020. 1. 10. 01:10

학생들과 함께 일궈낸 융복합 연구 성과와 그 뒷이야기

지난 5월 10일, 기초학부의 이창훈 교수를 만나 MAO-A 연구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했다. 앞선 기사에서 분자와 생명현상 실험에서 진행한 ‘너 자신을 알라’ 프로젝트가 갖는 학술적 의의를 분석하였다면 이번 기사에서는 이 연구에 얽힌 이야기들을 소개해보고자 한다. 개개인에게는 실험 수업의 일부에 불과했던 프로젝트이지만, 각자의 결과가 모인 과정과 결론은 매우 뜻 깊다. 모든 학부생들이 이 이야기를 들을 권리가 있다고 생각하며, 더 많은 학부생들에게 이 이야기가 전달되기를 바란다. 다음은 기자와 이창훈 교수와의 문답이다. Q. ‘너 자신을 알라’ 연구 프로젝트를 설계했던 과정이 궁금하다. - 1기 학생들, 14학번 학생들의 경우에는 이석규 교수의 아이디어로 ‘CSI가 되어 범인을 잡아보자’ 프로젝트를 통해..

학술 2020. 1. 10. 01: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65 66 67 68 69 70 71 ··· 115
다음
  • 매체소개 | 규정 | 외부기고




디지스트신문 DNA : DGIST News & Analysis © 디지스트 신문 DNA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