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2021학년도 보궐 선거 무산,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유지. 앞으로의 행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는 지난 3월 17일부터 3월 23일까지 총학생회, 학번대표, 학생대의원 보궐 선거에 대한 후보자 등록을 받았다. 그러나 후보자 등록인이 없어 선거가 무산되었고,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 체제가 유지된다. 비대위는 작년 12월경 시행되었던 총학생회장단 선거가 무산되면서 2021년 1월 1일부터 활동을 시작했다. 보궐 선거까지 무산됨에 따라 비대위 체제는 1년간 운영될 예정이며 다음 선거 계획은 선관위가 관리한다. 선거의 방법과 과정은 2월 24일 배포된 개정된 선거 세칙을 참고하면 된다. 비대위 운영의 큰 틀은 기존의 중앙운영위원회와 같으며 학생회장 대신 비대위원장, 부회장 대신 부위원장이 직책을 맡는다. 그러나 비대위원장은 학생회장과 달리 비선출직이라는 점이 가장 큰 ..
2021.03.31
-
학점 인정 인턴십, 기업까지 확대 : DGIST 디딤돌 인턴십 프로그램
20학번부터 졸업 요건의 충족을 위해 국내외의 인턴십 최소 2학점을 필수로 이수해야 하며, 2학점을 더하여 최대 4학점까지 이수할 수 있다. ▲국내 인턴십 ▲해외 인턴십 ▲융합연구원 인턴 프로그램 ▲대학원 인턴 프로그램을 통해 학점 인정이 가능하다. 국내 인턴십 학점 인정은 ‘DGIST 디딤돌 인턴십 프로그램(국내 기업 인턴십)’을 통해 운영된다. 국내 기업 가을학기 참여 인턴십이 추가되는 등, 대상 기업 및 프로그램이 확대될 예정이다. 기업 인턴십하고 학점 인정받기 : 인턴십 교과목, ‘국내 인턴십 I~V’ 국내 인턴십은 여름학기에 5주 이상 진행되는 ▲국내 인턴십 I ▲국내 인턴십 II, 여름학기에 9주 이상 진행되는 ▲국내 인턴십 III ▲국내 인턴십 IV, 가을학기에 14주 이상 진행되는 ▲국내 ..
2021.03.29
-
2021학년도 FGLP, 코로나 19로 인해 일부 학교 온라인으로 진행 및 파견 학교 확대
지난 2020학년도 9월, FGLP가 코로나로 인해 최종 파견이 취소된 가운데 다가오는 2021학년도 FGLP는 정상적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단, 현재까지도 코로나 19로 인한 미국 현지 상황이 여전히 심각한 관계로 일부 학교는 온라인으로 진행될 전망이며, 대면으로 진행되는 학교 역시 백신을 접종한 경우에 한해서만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2021학년도부터 FGLP 파견 학교가 확대됨에 따라 학생의 선택권 역시 넓어질 것으로 보인다. 큰 변화의 물결을 맞은 2021학년도 FGLP에 대해 디지스트 신문 DNA가 알아보았다. FGLP 온라인 진행. 백신 접종 시 대면 파견도 가능, 하버드, 위스콘신, 보스턴 대학 추가 코로나 19로 인해 FGLP가 온라인으로 일부 진행되는 가운데, 파견 학교도 확대된다. 기..
2021.02.09
-
다가오는 2021학년, 큰 변화 맞는 수학, 영어, 음악, 체육 및 코드쉐어 교육과정
지난 2020학년도 가을학기 수강 신청 전, 개편된 20학번 교육과정이 공지되었다. ▲연구자 ▲창업∙취업∙비이공계로 구성되었던 트랙이 ▲물리 ▲화학 ▲생명과학 ▲기계공학 ▲재료공학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화학공학의 구성으로 변화하면서 교육과정이 전반적으로 개편되었다. 트랙의 구성 변화뿐만 아니라, ▲수학 심화반 폐지 ▲영어 과목 개편 ▲예체능 및 코드쉐어 축소 등이 이루어졌으므로 14~19학번 학부생은 졸업 계획과 함께 이번 개편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디지스트 신문 DNA가 다가오는 2021학년도부터 적용되는 ▲수학 ▲영어 ▲인턴십 ▲음악 및 체육 ▲코드쉐어 교과목 변화를 알아보았다. 큰 변화 예상되는 수학 교육과정 다가올 2021학년도부터, 수학 과목에서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학교..
2021.01.15
-
동아리 연합회 황재하, 한현영 회장단 당선, 그 외 자치단체장 선거는 무산
12월 3일부터 이틀간 진행된 동아리 연합회장단 선거에서 황재하(’19), 한현영(‘19) 회장단이 총 25표 중 24표의 찬성으로 당선되었다. 47명의 동아리장 및 동아리장 대리인에게 투표권이 부여되었고, 12월 4일에 투표율이 과반인 53.19%에 도달해 12월 6일 일요일에 개표를 진행했다. 황재하, 한현영 회장단은 ▲동아리 내 및 동아리 간 갈등 해결 ▲동아리 분과별 사업 추진 ▲타 학교 동아리 연합회와 교류 ▲과학기술원 총 동아리 연합회 결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당선된 회장단은 선거가 끝난 이듬해인 내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활동한다. 한편, 총학생회장단 선거와 생활관학생자치회장 선거는 12월 6일 저녁 9시까지 연장투표가 진행되었으나 투표율이 과반에 도달하지 못해 무산되었다. 총학..
2020.12.07
-
[속보] 2021년 자치단체장 선거, 연장투표 진행
총학생회 선출 위해서는 50% 이상의 투표율 필요 12월 3일 11시부터 12월 4일 20시까지 2021년도 DGIST 자치단체장 선거가 진행되었다. 마감된 자치단체장 선거의 투표율은 다음과 같다. ▲총학생회장단 27.55% ▲동아리 연합회장단 53.19% ▲생활관 자치회장 30.57% 이번 선거에서 50%를 넘지 않은 총학생회장단과 생활관 자치회장 선거는 선관위 의결에 따라 연장 투표가 실시된다.이번 연장 투표는 12월 5일과 12월 6일 각각 13시에서 21시까지 학생생활관 로비에서 진행된다. 연장 투표에서도 50%를 넘기지 못하면, DGIST 선거시행세칙 제57조에 따라 선거는 무산되며, 투표용지를 파쇄한다. 따라서 총학생회는 무산되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운영된다.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
2020.12.05
-
2021 총학생회장단 선거, 투표율 12.24%로 첫날 마감
총학생회 선출 위해서는 50% 이상 투표 필요 12월 3일, 12월 4일 양일에 걸쳐 2021년도 DGIST 융복합대학 기초학부 총학생회장단 선거 투표가 진행 중이다. 현재 12월 3일 투표는 마감한 상태다. DGIST 중앙 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에 따르면 현재 투표율은 12.24%다. 유권자 686명 중 84명이 3일에 투표에 참여했다. 학번별 투표율은, ▲20학번 16.76%, ▲19학번 15.19%, ▲18학번 10.64%, ▲17학번 8.4%, ▲16학번 3.51%, ▲15학번 16.38%이다. 12월 4일 E7-266 옆 투표소에서는 11시부터 17시 사이에 투표가 진행되고, 학생생활관 로비 투표소에서는 17시 30분부터 20시까지 투표가 진행된다. 투표마감시간을 기준으로 투표율이 50%를..
2020.12.04
-
혼란스러운 2021년 UGRP, 온라인 설명회 개최
12월 1일 오후 1시, 코로나19 상황 악화로 인해 일주일 연기되었던 UGRP 설명회가 온라인 회의 플랫폼 Zoom을 통해 진행되었다. 설명회에 약 120명의 참석자가 몰린 가운데, 내년 UGRP 변동사항과 FAQ, 학생들의 질의에 대한 응답이 이어졌다. 설명회에서 공지된 내용과 질의응답 시간에 제출된 질문 및 그에 대한 답변을 요약해서 표와 함께 기사로 정리해보았다. 먼저 내년 UGRP에서 바뀌지 않는 부분과 바뀌는 부분을 나누어 정리했다. 2021 UGRP 변경사항 내년 UGRP에서도 변함없는 항목은 다음과 같다. 내년도 UGRP에서도 각 소주제 별 인원은 최소 네 명에서 최대 여섯 명으로 구성된다. 소주제 제안 방식 또한 기존과 같이 UGRP WIKI(http://ugrp.dgist.ac.kr/w..
2020.12.02